![]() |
갤럭시노트7. /사진=삼성전자 |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이 출시 10일만에 판매량 40만대를 돌파한 가운데 중소 휴대폰 유통업계는 물량을 제대로 공급받지 못해 갤럭시노트7 돌풍에서 소외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KMDA)는 29일 갤럭시노트7이 대형유통점이나 직영점 중심으로 먼저 공급되면서 중소 판매점들이 피해를 입는다고 주장했다.
KMDA 측은 "갤럭시노트7의 예약 가입이 40만대를 돌파하는 등 인기가 뜨거워지자 시장에 활기가 돌 것으로 예상했지만 갤럭시노트7이 정식 출시되자 대형유통·직영점으로의 쏠림 현상이 더욱 심화되는 결과가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지난 19일 출시된 갤럭시노트7는 사전예약만 40만명에 육박할 정도로 큰 인기를 모으고 있다. 신규 가입자는 물론이고 사전예약자조차 개통에 어려움을 겪어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7 품귀현상에 공식 사과까지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KMDA는 갤럭시노트7 품귀현상 이후 재고가 대형유통점과 직영점을 중심으로 선공급되고 있어 영세한 골목상권은 차별적 공급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KMDA 측은 "갤럭시노트7을 공급받지 못한 골목상권에선 재고가 없어 예약취소 등 고객 불만이 일고 있고 구입을 원하는 고객들에게 판매 시점도 알릴 수 없는 상황"이라며 "이와 달리 대형유통점과 직영점에선 예약가입 소화는 물론, 현장판매, 즉시개통까지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골목상권이 어렵게 유치한 갤럭시노트7 예약 고객들이 단말기의 수령이 늦어지자 예약을 취소하고 재고가 있는 대형유통·직영점에서 단말기를 직접 구매해 있던 고객까지 빼앗기고 있다"고 강조했다.
KMDA는 지금까지 판매점과 대형유통망·직영망 간 불공정 경쟁에 목소리를 내며 상생을 촉구해 왔지만 이번 갤럭시노트7 품귀 현상에서 또다시 상생의리는 찾아볼 수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한편 삼성전자의 하반기 야심작 갤럭시노트7은 홍채인식기능과 S펜까지 적용된 방수·방진기능, 최초로 출시된 ‘블루코랄’ 색상을 앞세워 패블릿폰의 강자로 떠올랐다. 중국에서도 3일만에 50만명의 사전예약자가 몰리는 등 국내외에서 뜨거운 인기를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