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가 이달 말에 임직원 1인당 평균 2000만원가량의 성과급을 지급할 예정이다. 지난해보다 2배 이상 증가한 금액이다. 올 여름 기록적인 무더위로 국민들이 전기료 ‘폭탄’을 맞은 미묘한 시점에 전기료로 막대한 수익을 올린 한전 직원들이 성과급 잔치를 벌인다는 비판 여론이 비등하다. 

국회예산정책처 등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지난 6월 공공기관 운영위원회에서 한전의 경영실적을 평가한 결과 A등급을 부여했다. 발표연도를 기준으로 한전이 A등급을 받은 것은 5년 만이다. 한전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4조4254억원으로 전년 대비 1조6737억원 증가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사진=이미지투데이

공기업 임직원은 경영실적 평가(S~E등급) 결과에 따라 성과급 액수가 정해진다. C등급 이상을 받은 기관의 직원은 등급에 따라 전년 기본급의 100~250%, 기관장은 48~120%까지 성과급을 받는다.
지난해보다 높은 평가를 받은 한전 직원도 올해 성과급 액수가 늘어난다. B등급이었던 지난해에는 직원 1인당 평균 748만3000원의 성과급이 지급됐다.

같은 A등급을 받았던 2011년 1인당 성과급이 평균 1774만4000원이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올해는 실적이 더 좋아진 만큼 2000만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한전의 영업이익은 11조3000억원에 달했다.

이에 대해 한전 측은 국제 유가하락 등으로 발전 원가가 줄어든 결과로 이번에 가정용 전기료 폭탄의 원인이 된 누진제와는 상관없이 정부가 정한 기준에 따라 성과급을 지급하는 것이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한전의 지난해 이익에는 가정용 전기에만 누진제를 유지해 얻은 이익도 포함됐다.


야권 관계자는 “지난해와 올해 전기요금체계가 바뀐 것이 없어 한전의 해명은 설득력이 없다”며 “지금처럼 한전이 전기요금을 독점하면서 가정용에만 불합리한 누진제를 강요하는 상황에서는 국민들의 불만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