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님기 시국선언. 오늘(29일) 오전 11시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계단에서 백남기 농민 사망 국가폭력 규탄 시국선언이 열렸다. /사진=뉴시스
백님기 시국선언. 오늘(29일) 오전 11시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계단에서 백남기 농민 사망 국가폭력 규탄 시국선언이 열렸다. /사진=뉴시스

백남기 농민 사망 시국선언이 나왔다. 백남기 농민 사망 국가폭력 규탄 시국선언 참여자들은 오늘(29일) "사인을 은폐 왜곡하려는 시도가 아닌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오전 11시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계단에서 정치인, 종교계, 사회원로, 법조계, 시민사회, 문화예술인, 노동, 농민, 빈민, 여성, 청년, 학생 등 각계각층의 인사들이 대규모로 참여해 백남기 농민 사망 국가폭력 규탄 시국선언을 개최했다.

이들은 "사인이 명백하고 유족이 부검을 원치 않고 있음에도 검찰과 경찰, 법원은 기어이 부검을 강행하려 한다. 백남기 농민의 부검은 법률적·의학적·상식적·도의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또 "백남기 농민의 죽음은 명백한 공권력에 의한 타살임에도 백남기 농민과 가족들은 300일이 넘는 시간 동안 정부로부터 단 한마디 사과도 듣지 못했다. 책임자 처벌이나 재발 방지를 위한 노력도 찾아볼 수 없었다"며 정부 행태를 성토했다. 이들은 이어 정부에 백남기 농민 사망에 대한 정부의 사죄, 특검 등을 통한 철저한 수사와 책임자 처벌, 국가폭력 종식과 물대포 추방을 요구했다.

앞서 서울중앙지법은 25일 백씨 사망후 신청된 부검영장은 기각했지만 경찰이 소명자료를 추가해 다시 영장을 청구하자 제한조건을 달아 영장을 발부했다.

한편 이날 시국선언에는 민주당 83명, 국민의당 23명, 정의당 6명, 무소속 2명의 국회의원이 참여했다. 또 4대종단 종교계 인사들 500여명, 시민사회단체 인사 1000여명, 민변·민주법연 소속 변호사 등 법조계 인사 350여명을 포함해 3000여명이 참여했다. 유족은 백씨 차녀인 백민주화씨가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