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의 도움을 받거나 다양한 지식을 습득해 은퇴설계 프로세스를 따라가보자. 시간이 걸리더라도 체계적인 은퇴계획을 세울 수 있다.
◆은퇴 예상시점·지출 꼼꼼히 따져라
행복한 은퇴설계를 위한 첫번째 조건은 은퇴 예상시점을 정하는 일이다. 현재 나이 기준으로 앞으로 일할 수 있는 기간을 계산하고 일찍부터 인생의 2막을 준비해보자. 플랜 여부에 따라 은퇴 이후의 삶이 달라질 수 있다. 물론 오래 일하는 것이 최고의 은퇴준비라는 점을 잊지 말자. 참고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우리나라 근로자의 평균 은퇴연령은 68세다.
![]() |
/사진=이미지투데이 |
그 다음은 은퇴 이후 지출할 예상금액을 계산하는 일이다. 자녀를 독립시키고 부부끼리 산다고 할 때 온전히 두 사람이 지닌 소득과 연금으로 생활비 및 기타 자금을 지출해야 한다. 여유가 있다면 취미생활까지 고려해 지출금액을 준비하자. 특히 노년이 되면 의료비 지출이 커지는 만큼 갑작스런 의료비용 지출을 감당할 수 있는 자산준비도 필요하다.
금융과 친해지는 것도 은퇴준비를 위한 필수조건이다. 현재 소득으로 은퇴 이후 만족스러운 삶을 살기엔 다소 버거운 것이 사실. 이럴 땐 금융상품에 투자해 자산을 늘릴 필요가 있다. 현재 20~30대 젊은 층이라면 다소 공격적인 투자를, 40~50대 중년층이면 안전상품에 투자하는 것이 현명하다. 다만 결혼을 앞두고 목돈이 필요한 경우라면 가급적 중장기 상품은 피하는 것이 좋다.
행복한 노후생활 위한 실천과제
1. ‘3층연금’으로 불리는 국민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을 준비하라. 매월 정기적인 현금을 확보하고 절세효과까지 챙길 수 있어 안정적인 노후자금 마련이 가능해진다.
2. 리스크를 즐겨라. 편안한 노후를 보내려면 은퇴할 때 연봉의 10배에 달하는 돈이 필요하다. 안전상품과 중위험·고위험 상품을 살펴보고 개인의 투자성향에 따라 분산투자하라. 고위험상품은 원금손실이 우려되지만 장기적으로 리스크 상쇄를 기대할 수 있다.
3. 은퇴를 최대한 미뤄라. 최고의 재테크는 직장에 오래 다니는 것이다. 건강이 나빠졌거나 일하기 어려운 상황이 아니면 회사를 그만두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안정된 수익을 챙길 수 있고 사회활동을 유지하면 건강도 지킬 수 있다.
1. ‘3층연금’으로 불리는 국민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을 준비하라. 매월 정기적인 현금을 확보하고 절세효과까지 챙길 수 있어 안정적인 노후자금 마련이 가능해진다.
2. 리스크를 즐겨라. 편안한 노후를 보내려면 은퇴할 때 연봉의 10배에 달하는 돈이 필요하다. 안전상품과 중위험·고위험 상품을 살펴보고 개인의 투자성향에 따라 분산투자하라. 고위험상품은 원금손실이 우려되지만 장기적으로 리스크 상쇄를 기대할 수 있다.
3. 은퇴를 최대한 미뤄라. 최고의 재테크는 직장에 오래 다니는 것이다. 건강이 나빠졌거나 일하기 어려운 상황이 아니면 회사를 그만두지 않는 것이 현명하다. 안정된 수익을 챙길 수 있고 사회활동을 유지하면 건강도 지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