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일영 인천공항공사 사장. /사진=뉴스1 DB |
4일 국회와 인천공항 노조 등에 따르면 인천공항은 현재 정규직 노조 2000명을 포함해 약 6800명에 달하는 비정규직을 고용하고 있다.
인천공항 비정규직 노조는 수년 전부터 고용여건 개선 등을 위해 직접고용 확대를 주장해 왔지만 인천공항공사는 2014년 이후 노조와 만나지 않겠다고 선언한 뒤 문제해결을 위한 대화 창구를 닫았다.
인천공항공사의 이 같은 행보에 지난달 28일 열린 국정감사에서 야당 의원들의 질타가 이어졌다.
윤관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유독 인천공항공사 비정규직 문제만 반복되고 있다는 점을 거론하며 “제2여객터미널이 개장하면 더 악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같은당 윤후덕 의원도 공사의 부당한 처우를 지적하며 “공항에서 일하는 모든 분들이 자부심과 희망을 갖고 근무할 수 있도록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 사장은 이에 대해 “현재 용역 계약내용 등을 실태 확인해서 개선하도록 하고 2터미널 개장때는 개선된 내용을 반영하도록 하겠다”며 “비정규직 노조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노조 측은 정 사장의 발언이 터무니 없다고 지적했다. 노조의 한 관계자는 “정 사장의 이 같은 답변은 이미 수년째 들어온 국감용 발언에 불과하다”며 “공사는 여전히 비정규직 문제는 이를 직접 고용한 업체의 소관이라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특히 정 사장은 인천공항을 책임지는 비정규직 용역인력의 현황 파악조차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정 사장은 국감에서 “용역의 평균 연봉은 3600만원으로 중소기업 정규직보다 높은 편”이라고 말했지만 같은 날 국감 참고인으로 나온 박대성 공공운수노조 인천공항지부장은 “용역 평균 연봉이 3600만원이라고 하는데 전혀 사실이 아니다. 그 돈이 다 어디로 가는지 모르겠다”고 반박했다.
국회 관계자 역시 “지난해 기준 정 사장의 연봉은 국토부 공기업 중 최고 수준”이라며 “민간기업도 아니고 국민 혈세가 투입된 대표공기업 최고경영자(CEO)로서 최고 연봉을 받으면서 공항 직원들의 현황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거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