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노조. 지난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에서 열린 백남기 농민 사망진단서 논란에 대해 위원장인 이윤성 교수(왼쪽)과  주치의인 백선하 교수(오른쪽)가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서울대병원노조. 지난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에서 열린 백남기 농민 사망진단서 논란에 대해 위원장인 이윤성 교수(왼쪽)과 주치의인 백선하 교수(오른쪽)가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서울대병원노조는 오늘(4일) 서울대병원·서울대의대 합동 특별조사위원회(특위)가 발표한 농민 백남기씨의 사망진단서와 관련해 "외압이 아니라면 의대생보다 못한 교수는 서울대병원을 떠나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날 성명에서 서울대병원노조는 "서울대병원은 잘못을 바로잡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를 버렸다"며 "서울대병원은 백선하 교수에게 책임을 떠넘기고 백 교수는 서울대병원을 믿은 가족에게 사망책임을 돌렸다"고 지적했다.

서울대병원노조는 "이번 발표로 우리는 서울대병원이 권력 앞에 양심을 버리는 병원이라는 것을 확인했다"며 "잘못된 사망진단서로 유족과 국민들에게 배신감을 안겨준 것도 모자라 특별위원회로 국민들을 모욕하는가"라고 반문했다.


이들은 "서울대병원은 국민이 마지막 순간까지 믿을 수 있는 공공병원이어야 한다"며 "서울대병원 노동자들은 서울대병원이 권력 앞에서 진실을 포기하고 돈벌이 병원으로 가는 모습을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앞서 특위는 지난 3일 오후 기자회견에서 백남기씨 사인에 대해 이윤성 교수는 "내가 주치의였다면 '외인사'로 기록했을 것"이라고 밝혔으며, 백선하 교수는 "최선의 치료를 받지 못해 사망했다고 보고 병사로 표기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