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건설업계가 저유가 여파 등으로 급증한 해외 분쟁에 시름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DB |
특히 국내 건설사들 미청구공사 대부분이 중동지역에 집중돼 준공시 계약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적지 않다는 게 업계 분석.
11일 해외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해 중동 내 계약분쟁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 약 8200만 달러 규모다.
올 상반기 두바이 국제금융센터 재판소에서 중재·맞고소·법 집행 등으로 처리된 사건 규모는 약 9억달러(1차심 기준)로 전년 동기 대비 48%나 증가했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계약분쟁은 프로젝트 발주규모 감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본다. 특히 2008년 세계 경제위기 이후 국제적인 수주시장 위축으로 건설사들은 중동에 대거 진출했지만 2011~2014년 저가 수주된 프로젝트의 경우 준공시기가 저유가 시기와 맞물려 상황이 악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턴키’ 계약방식도 문제로 지적된다. 중동 지역에서 흔히 사용되는 이 방식은 시공자가 조사·설계·조달·건설·시운전 등 전 과정을 맡아야 해 발주처가 추가비용·공기·분쟁 등의 책임을 전가시키는 데 활용된다는 것.
문제는 국내건설사들이 이미 공사를 진행했음에도 발주처에 대금을 청구하지 못한 미수채권, 즉 미청구공사가 대부분 중동지역에 몰려있어 손실로 이어질 여지가 크다는 점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올라온 주요 건설사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현대건설, 삼성물산, 대우건설, GS건설 등 주요 건설사의 미청구공사 금액(연결기준·전년 매출액의 5% 이상)은 총 3조7638억원. 이 중 81.4%에 해당하는 3조622억원이 중동지역(북아프리카 포함)에 몰려있어 심각성을 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