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수 국립환경과학원 교통환경연구소장이 25일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기자실에서 BMW 520d 등 14개 차종 1만 5802대 결함 시정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장수영 기자<br />
김정수 국립환경과학원 교통환경연구소장이 25일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기자실에서 BMW 520d 등 14개 차종 1만 5802대 결함 시정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장수영 기자

520d를 비롯한 BMW 12개 차종과 기아차 모하비, 포드 포커스1.5 등 총 14개 차종에 리콜명령이 내려졌다.
환경부는 ▲BMW코리아의 520d 등 휘발유 1개 차종·경유 11개 차종 ▲기아 경유차 모하비 1개 차종 ▲ 포드 경유차 '포커스 1.5' 1개 차종 등 14개 차종 1만5802대의 배출가스 부품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리콜을 한다고 25일 밝혔다.

BMW 차종은 배출가스 부품에서 결함이 발견됐고, 기아차 '모하비'는 배출가스자기진단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모하비는 인증검사와 다른 부품을 사용해 27억원의 과징금도 부과받았다. 포커스1.5는 수시검사 과정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확인돼 판매정지 명령과 함께 지금까지 판매된 209대에 대해 리콜명령을 받았다.


BMW코리아는 지난 12일부터 520d 등 12개 차종 23개 모델 1만1548대를 대상으로 자발적 리콜을 실시하고 있다. 휘발유 차량인 X5 M과 X6 M차량에서는 블로바이가스 환원장치 내부 부품인 환기라인 재질의 내구성 저하가, 520d 등 21개 디젤 모델에서는 배출가스재순환장치(EGR) 제작 불량이 각각 확인됐다.

교통환경연구소 측은 “BMW의 경우 EGR의 마모로 인해 정상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나타났다”며 “다만 소프트웨어 임의조작은 아니고 기계적 결함이며 잠재적인 결함이기 때문에 과징금 부과대상에서 제외했다”고 설명했다.

기아차의 모하비는 환경부가 수시검사하는 과정에서 환경부로부터 인증받은 부품과 다른 배출가스자기진단장치(OBD)를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 결과 소비자가 불량 촉매제를 사용하더라도 운전자경고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아 정비시기를 놓치고 주행 중 갑자기 시동이 꺼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교통환경연구소는 “OBD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해서 배출가스가 더 발생하는 것은 아니지만 소비자 안전문제와 직결되므로 리콜을 진행한다”며 “환경부 인증검사와 다른 부품을 사용한 만큼 과징금 대상에 포함된다”고 밝혔다.

기아차는 지난 6월부터 판매된 4045대의 매출액 1.5%를 적용해 27억원의 과징금을 내야 한다. 이는 과징금 한도를 차종당 10억원에서 100억원으로 상향한 법이 적용되는 첫 사례다.

포드 '포커스 1.5'는 환경부가 1대를 수시검사한 결과 질소산화물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했고, 이후 2차 수시검사에서 5대를 조사한 결과 모두 질소산화물을 초과배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는 지난 9월27일 포커스 1.5 차종에 대해 신차 판매정지와 함께 이미 판매된 차량 209대에 대해 리콜 명령을 내렸다. 기아차와 포드코리아는 환경부에 결함시정계획서를 제출해야 하고, 환경부 승인을 받으면 리콜을 진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