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도 따뜻하게, 윈터타이어는 필수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며칠 새 기온이 뚝 떨어지면서 일부 지역엔 벌써 눈발이 날리는 등 예년보다 빠르게 겨울이 찾아왔다. 자동차도 겨울을 대비해야 할 시기다. 자동차 월동준비는 안전을 위한 필수조치일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수명을 늘리는 차원에서도 중요하다.
◆타이어관리는 ‘보험’

전문가들이 말하는 월동준비의 핵심은 ‘자동차의 신발’이라고 할 수 있는 타이어다. 타이어는 자동차 중 유일하게 노면에 닿는 부분으로 1~3톤에 달하는 자동차의 무게를 감당한다.

겨울철 빙판과 눈길 앞에서는 아무리 경험이 많은 운전자라도 사고 위험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노면 마찰계수가 낮아져 제동거리가 길어지고 자동차가 뜻대로 움직이지 않기 때문. 따라서 겨울철 타이어의 월동준비는 일종의 보험과 같다. 사고확률을 낮출 수 있다면 준비비용이 아깝지 않을 것이다.


겨울철을 대비하는 최고의 조치는 윈터타이어로 교체하는 것이다. 흔히 스노(snow)타이어로 불리는 윈터타이어는 차가운 노면과 눈길, 빙판길에 대응하기 위한 타이어다. 타이어의 재질 자체가 다르고 접지면에 더 많은 홈이 파여 마찰력을 극대화한다.

빙판길이나 눈길에서 운행하지 않을 경우 윈터타이어로 교체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운전자가 많다. 하지만 일반타이어의 경우 기온이 5~7도 이하로 내려가면 고무가 딱딱해져 접지력이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눈길운행을 하지 않더라도 윈터타이어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유럽 국가는 겨울철 윈터타이어 교환을 의무화했다.

타이어업계는 계절별로 타이어를 바꿀 경우 타이어 사용 가능 기간이 길어져 장기적으로 추가비용이 적게 발생한다고 말한다. 만약 교체한 타이어를 보관할 공간이 없다면 타이어업체가 제공하는 보관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 소정의 비용을 지급하면 교체한 타이어를 보관해주며 새 타이어를 구매할 때 기존의 타이어를 무료로 보관해주는 이벤트도 종종 실시한다.


윈터타이어 교체가 부담스럽다면 타이어 점검이라도 꼭 받자. 대부분의 타이어매장이 타이어 공기압과 펑크, 밸런스 등 기본적인 점검서비스를 무상으로 제공한다. 아울러 눈길 주행에 대비한 스노체인도 준비해야 한다. 최근에는 비상 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프레이제품이 인기다.

◆배터리·차량 수명 늘리는 ‘보온’

보험개발원이 자동차보험 가입자의 긴급출동서비스 이용현황을 분석한 결과 1년 중 12월에 가장 많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이용한 서비스 중 배터리 충전비율(41.4%)이 가장 높았다.

겨울은 히터와 열선 등 소비전력이 높은 전기장치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배터리 소모가 크다. 특히 영하의 날씨에서 시동을 오래 꺼두면 배터리가 자연 방전되는 경우가 심심찮게 나타난다. 이 경우 보험사 긴급출동서비스를 불러야 하는 불편이 따르는 데다 한번 방전된 배터리의 수명은 크게 떨어진다. 이를 방지하려면 시중에서 판매하는 배터리 커버를 장착해 추위를 막아주는 게 좋다.

겨울철에는 차량을 야외에 장기간 노출시키지 않아야 한다. 산성 눈을 맞아 차가 녹슬 수 있고 와이퍼 등이 얼어붙어 작동되지 않을 수도 있어서다. 여름철도 마찬가지지만 겨울철엔 특히 실내주차장에 주차하는 게 좋다.

실내에 주차할 여건이 되지 않을 땐 가급적 차량이 밀집해있고 햇빛이 드는 곳에 주차하자. 장기간 차량을 운행하지 않을 때는 차량커버를 씌우고 주차 시 와이퍼를 세워두거나 골판지 등을 끼워두면 앞유리에 얼어붙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연료탱크 내·외부 간 온도차이로 탱크 내에 결로현상이 생겨 연료에 수분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탱크를 가득 채우는 게 좋다. 엔진오일을 교체할 경우 저점도 제품을 넣으면 겨울철 시동장애를 방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