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네시스(GENESIS)브랜드가 공식 출범한 지 1년. 국내 고급차시장의 절반을 집어삼키며 성공적으로 안착했다는 평을 받는다. 플래그십인 EQ900(G90)이 포문을 연 뒤 제네시스 차명을 쓰던 DH(프로젝트명)가 이름을 바꾸고 상품성을 높여 G80으로 다시 태어났다.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G80의 변형인 G80 SPORT(스포츠)도 지난달 출시됐다.

요즘 고급차시장의 변화 중 하나는 성능 면에서 차별성을 인정받은 브랜드를 활용하려는 점이다. 메르세데스-벤츠의 ‘AMG’, BMW ‘M’, 아우디 ‘S’는 이름만으로도 고성능모델임을 쉽게 알아차릴 수 있다. 이런 고성능차는 ‘누구나’ 큰돈을 내면 살 수 있지만 ‘아무나’ 몰긴 어렵다. 운전실력과 체력이 뒷받침돼야 자유자재로 가지고 놀 수 있다. 따라서 이런 차를 소유하고픈 이들의 욕구를 자극하기 위해 고성능 버전의 스타일링을 입힌 모델을 내놓는 추세다.


G80 스포츠. /사진제공=제네시스
G80 스포츠. /사진제공=제네시스

제네시스 G80 스포츠는 현대차가 본격적으로 고성능 경쟁에 뛰어들었다는 걸 선포하는 모델은 아니다. 럭셔리지향의 라인업에서 가지치기한 틈새시장 공략용 차종이다. 출시가격에서도 고민을 엿볼 수 있다. 기본가격은 6650만원이며 지난 1일 시승한 차는 전자식 AWD(상시사륜구동)시스템인 HTRAC(250만원), 파노라마 썬루프(120만원), 제네시스 스마트 센스 패키지(250만원), 뒷좌석 컴포트 패키지(180만원), 뒷좌석 듀얼 모니터(250만원)를 모두 탑재한 이른바 ‘풀옵션’ 차종이었다. 가격은 7700만원.
◆달리는 ‘맛’이 생겼다

G80 스포츠는 람다V형6기통 3.3ℓ 트윈터보 가솔린 직분사(GDi) 엔진이 탑재됐다. 최고출력은 370마력(ps)으로 EQ900에 탑재된 것과 같다. 낮은 엔진회전수(1300rpm)부터 52.0kg·m의 최대토크를 낼 수 있어서 2톤이 넘는 무거운 차체임에도 경쾌함을 잃지 않는다. 정지 상태에서 출발하거나 속도가 붙었을 때도 가속페달을 밟는 만큼 충분히 더 치고 나갈 수 있어서 운전이 즐겁다.


무엇보다 즐거움을 더하는 요소는 엔진 사운드다. 주행모드를 스포츠로 바꾸고 가속페달에 힘을 실으면 귓가를 울리는 묵직한 기계음이 꽤 매력적이다. 1억원이 넘는 고성능차에선 흡기-배기 매니폴드를 연 탓에 실제 사운드가 바뀌지만 G80 스포츠는 가상 엔진음과 실제 엔진음을 합성해 스피커를 통해 들려주는 ‘액티브 엔진 사운드시스템’이 적용됐다.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충분히 즐길 수 있어서 최근 자동차제조사들이 활용하는 방식이다.

제네시스브랜드 관계자에 따르면 스포츠모드에서 가속페달 조작시 컴포트모드 대비 최대 40% 높은 토크를 발휘하도록 엔진 응답성을 높였다. 이와 함께 변속 응답성 향상, 전자제어 서스펜션의 댐퍼 감쇠력이 최대 55%까지 커지도록 설정했다.

일반적인 고속주행에서의 핸들링은 나쁘지 않았다. 꽤 안정적이었고 다루기 쉬웠다. G80과 비교해 스프링의 강성을 10~15% 높였고, 댐퍼의 감쇠력을 증대시켜 안정감을 높였다는 게 브랜드 관계자의 설명. ‘스포츠’라는 이름을 붙인 만큼 조금 더 공격적인 세팅을 기대했지만 ‘제네시스’라는 고급차의 부드러운 성향을 거스르지 않았다.


길이x너비x높이는 4990x1890x1480㎜이며 앞뒤 바퀴 사이의 거리인 휠베이스는 무려 3010㎜에 달한다. 차선을 급히 바꿀 때 앞뒤가 따로 노는 듯한 느낌이 드는데 차체가 길어서 어쩔 수 없는 부분이다. 트렁크엔 템포러리 타이어와 큼지막한 배터리가 들어있다. 차라리 런플랫 타이어(주행 중 펑크가 나도 일정시간 이상 주행이 가능한 타이어)를 적용하고 트렁크를 비웠다면 앞뒤 움직임이 조금 더 간결해지지 않았을까 싶다.


G80 스포츠. /사진제공=제네시스
G80 스포츠. /사진제공=제네시스

이날 시승 땐 타이어 공기압이 권장치인 앞33, 뒤38(psi)보다 한참 높은 앞38, 뒤44였다. 이에 대해 영하로 떨어진 날씨 탓에 규정보다 2psi씩 높였고 계속된 가혹주행 탓에 공기압이 높아졌다는 답변을 들을 수 있었다. 타이어 공기압을 높여두면 직진가속성이 좋아진다. 하지만 지나치게 높으면 타이어의 제 성능과 특성을 살리기 어렵다. 차체가 통통 튀고 흔들림이 심해질 수 있다.
'고급스포츠카'의 느낌을 더욱 강하게 하려면 댐퍼와 스프링을 비롯한 관련 부품을 스포츠용으로 바꾸면 된다. 하지만 이 경우 가격이 수백만원 이상 인상돼 최고 7700만원이었던 차가 8000만원 중반대로 올라서게 된다. 한마디로 가격경쟁력을 잃는다는 얘기다. 극한의 성능을 끌어내며 타는 차가 아니라는 점, 앞으로 나올 고성능버전의 입지를 남겨둬야 하는 점을 고려해 절충한 결과가 아닐까 싶다.

고속주행 시 정숙성은 수준급이다. 유리 2장을 붙여 소음을 줄인 ‘라미네이트 글라스’(이중접합유리)와 차체 곳곳에 배치된 흡·차음재 덕분이다. 시트는 옆구리를 잡아주는 볼스터 사이즈가 커져서 안정감이 좋았다.

◆G80과 다른 점

G80 스포츠의 디자인은 기존 G80 세단에 스포츠모델 전용 디자인 요소를 적용해 역동적인 느낌을 강조한 게 특징이다.

내외관 디자인에서 공통적으로 쓰이는 포인트 컬러는 제네시스브랜드의 상징인 ‘동’(銅, Copper)색이다. 전면 크레스트 그릴 테두리 안쪽, LED헤드램프, 휠, 실내 곳곳에 쓰인 스티치 등에 적용돼 은은한 멋을 더했다.

G80과 가장 큰 차별점은 앞모양이다. 라디에이터 그릴은 다크크롬 재질에 코퍼 컬러로 디테일을 강조했고 가로 선 대신 매쉬타입(그물모양)으로 바뀌었다. 또 범퍼 아래 커다란 흡기구가 배치돼 고성능 모델임을 드러낸다. 안쪽에서 바깥으로 순차 점등되는 시퀀셜 LED 방향지시등도 특징이다. 뒷모양도 다르다. 동그란 배기구가 2개씩 양쪽에 총 4개가 설치됐고, 그 사이엔 블랙 하이그로시 재질의 리어 디퓨저가 있다.

문을 열고 실내를 들여다보면 산뜻한 3스포크 타입 스티어링휠이 눈에 띈다. 휠 뒤편엔 수동변속모드를 활용할 수 있는 패들시프트가 적용됐다. 사용빈도가 많은 만큼 길이를 늘렸다.

또한 센터페시아와 도어 장식에 리얼 카본과 스트라이프 패턴의 리얼 알루미늄 소재를 적용했다. 카본 장식의 마감은 꽤 반짝거렸는데 무광이었으면 블랙 스웨이드 내장재, 무광 알루미늄 소재와 어우러져 더 고급스러웠을 것 같다.


G80 스포츠 내부 인테리어. /사진제공=제네시스
G80 스포츠 내부 인테리어. /사진제공=제네시스

◆가능성 보여준 G80 스포츠

최근 출시되는 고성능차의 개발방향은 아이러니하게도 대중지향이다. 그동안 소수의 마니아들이 타깃이었다면 이젠 경제적 능력이 있지만 신체능력이 떨어지는 중장년층도 목표 고객이다. 편안하면서도 강해야 한다는 상반된 요소를 두루 담아내야 한다.
현대차는 고성능브랜드 'N'을 준비 중이고 이는 제네시스에도 적용된다. 지금은 조금씩 단계를 높여 기술을 쌓고, 소비자에게 적응할 여유를 주는 시기라 볼 수 있다. 고성능차를 오래 전부터 만들어온 해외업체들과 비교하면 아쉬울 수 있지만 본격적으로 첫 발을 내디뎠다는 점은 분명 칭찬할 만하다. 그런 점에서 제네시스 G80 스포츠는 현대차의 고성능차 미래전략을 엿볼 수 있는 방향타가 될 것으로 보인다.


☞ 본 기사는 <머니S>(www.moneys.news) 제461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