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년간 전국 주거·업무상업·공업시설 및 토지의 월별 낙찰가율 및 낙찰건수. /자료=지지옥션
지난 1년간 전국 주거·업무상업·공업시설 및 토지의 월별 낙찰가율 및 낙찰건수. /자료=지지옥션
법원경매 낙찰가율이 다시 한 번 올 최고치를 경신하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8일 법원경매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법원경매 평균 낙찰가율은 전월대비 9.4%p 상승한 75.9%를 기록했다.

이는 올들어 가장 높은 수치이며 지난 2008년 5월 77.5%를 기록한 이후 8년 5개월 동안 가장 높은 기록이다.


주거시설 낙찰가율이 역대 최고수준인 90%를 나타내며 낙찰가율 상승에 기여했으며 업무 상업시설은 72.5%(전월대비 1.4%p상승), 토지 73.3%(전월대비 20.3%p상승) 등 주요 용도 모두 낙찰가율이 상승하며 전체 낙찰가율이 올랐다.

지지옥션은 10월의 경우 9월에 보였던 감정가 수 천 억원 대 대형 물건의 저가 낙찰 사례도 없어 전체적으로 낙찰가율이 안정적으로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반면 낙찰가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평균응찰자수는 전월 4.5명에서 4.3명으로 0.2명 줄었다. 지난 4월 4.0명을 기록한 이후 꾸준하게 증가 하던 응찰자수가 처음으로 감소세를 보인 것은 눈에 띄는 부분이다.


진행건수는 전국적으로 약 1만109건이 진행돼 4261건이 낙찰됐다. 전월대비 진행건수가 약 730여건 늘어나며 다시 1만건 이상을 기록했으며 낙찰건수도 덩달아 상승했다.

수도권은 진행건수 하락세가 지속되며 3607건까지 줄었지만 지방은 약 1000여건 증가한 6502건이 진행돼 전체 진행건수는 늘었다. 총 낙찰액은 약 1조1415억원으로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이창동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수도권 주거시설 물건 감소가 지속되면서 주거시설 낙찰가율이 상승한 부분이 전체 낙찰가율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며 “다만 1년 6개월 이상 지속된 과다경쟁으로 인해 일부 투자자들이 이탈 중인 가운데 11.3 부동산대책 여파로 경매시장 투자심리 등이 간접적으로 위축될 것으로 보여 연말을 전후해 경매시장 경쟁이 다소 완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