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추미애. 지난달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박근혜퇴진 제5차 범국민대회'에서 시민들이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김무성 추미애. 지난달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박근혜퇴진 제5차 범국민대회'에서 시민들이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와 추미애 민주당 대표가 회동을 가졌다.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와 추미애 민주당 대표는 오늘(1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켄싱턴호텔에서 만나 박근혜 대통령 탄핵 문제 등을 논의했다.
김 전 대표는 이날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추 대표로부터 어제(11월30일) 연락을 받았다"며 "그간 각자 주장을 했었기 때문에 만나서 서로 진위를 얘기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으로 만났다"고 말했다.

그는 "탄핵으로 간다고 하더라도 헌법재판소 판결이 4월 말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국가 원로들 모임에서도 정권의 안정적 이양이 중요하기 때문에 박 대통령이 4월 말에 물러났으면 좋겠다는 권유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 전 대표는 "(박 대통령의) 4월 말 퇴임이 결정되면 굳이 탄핵으로 가지 않고 그것으로 우리가 합의하면 좋지 않겠는가 하는 제안을 했다"며 "추 대표는 (박 대통령이) 1월 말 퇴임을 해야 한다고 주장해서 합의를 보지 못했다. 많은 입장을 교환했지만 결론 없이 끝났다"고 밝혔다.

그는 "앞으로 (야당과의) 협상은 계속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협상이 되지 않는다고 해도) 비상시국위원회에서 여야 합의 하에 4월30일을 퇴진 날로 못박자는 것이 총의인 만큼 이에 대해 박 대통령의 답을 듣고 만약 그것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오는 9일 탄핵에 참여할 수밖에 없다고 결론 냈다"고 설명했다.

김 전 대표는 박 대통령 퇴진 후 예우 차이 때문에 야당이 탄핵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냐는 질문에는 "어제 특검이 임명됐고 활동을 시작한 만큼 어떤 형태든지 박 대통령에 대한 사법 처리가 될 수밖에 없다"고 대답했다.


추 대표는 이날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법적으로 박 대통령의 사퇴는 늦어도 1월 말까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1월 퇴진을 약속한다면 야당의 탄핵추진을 거둘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박 대통령의 국정 농단 사태에 대해 온 국민이 대통령의 조속한 퇴진을 바라는데, 박 대통령은 제3차 (대국민) 담화에서 퇴진 일정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며 "국회에 공을 떠넘겼다. 국회로서는 헌법수호 책임을 다해 탄핵해야 한다고 얘기했다"고 설명했다.

추 대표는 개헌 논의 여부에 대해서 "(개헌 논의는) 전혀 없었다. 탄핵을 강력히 요청하고 촉구했다"고 밝혔다. 이어 탄핵소추안 처리 여부를 묻는 질문에 "오늘 지도부 회의를 소집해 의견을 모은 뒤에 말하겠다"고 설명했다.

김무성 추미애.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왼쪽)와 추미애 민주당 대표가 오늘(1일) 서울 영등포구 켄싱턴호텔에서 회동을 가지고 기자들과 만나 질문을 받고 있다. /사진=뉴시스
김무성 추미애.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왼쪽)와 추미애 민주당 대표가 오늘(1일) 서울 영등포구 켄싱턴호텔에서 회동을 가지고 기자들과 만나 질문을 받고 있다. /사진=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