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지도. /자료=출산지도 홈페이지 캡처
출산지도. /자료=출산지도 홈페이지 캡처

대한민국 출산지도 서비스가 시작한지 하루도 지나지 않아 수정작업에 들어갔다. 출산지도 서비스는 정부가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내놓은 서비스다. 

행정자치부는 지난 29일 오전 243개 모든 지자체의 출산통계와 출산지원 서비스를 국민들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는 취지에서 ‘대한민국 출산지도’ 홈페이지 서비스를 개시했다.
해당 홈페이지는 ‘출산지도 소개’ ‘출산지도’ ‘통계로 본 임신출산’등을 마련하는 '지자체 저출산 극복 프로젝트'를 시행하기 위한 정보를 담고 있다.

그러나 제시된 자료 가운데 '가임기 여성 분포도'가 문제가 됐다. 해당 홈페이지 내의 ‘가임기여성인구수’를 표기한 지도는 출산율 제고와는 무관하며 여성에게만 출산의무를 부과한다는 여성 비하적 잣대라는 지적이 빗발쳤다.


이에 행자부는 '출산지도' 홈페이지 수정 작업에 들어갔다. 행자부는 홈페이지를 통해 "대한민국 출산지도는 국민에게 지역별 출산통계를 알리고 지역별로 출산관련 지원 혜택이 무엇이 있는지 알리기 위해 제작한 것으로 여기에 언급된 용어나 주요 통계 내용은 통계청 자료를 활용해 제공한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하여 더 좋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현재 홈페이지는 수정작업중이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