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머니투데이
/사진=머니투데이
새해를 맞아 많은 사람들이 한복을 입고 가족과 친척들을 만나러 가지만 한복 입는 법이 복잡해 난감한 경우가 있다. 남녀의 한복 입는 법과 옷고름, 대님 매는 법을 알아보자.
◆여자 한복 입는 법

1. 속바지와 속치마를 차례로 입는다
2. 겉치마를 입는다. 이때 왼손으로 치마꼬리를 잡을 수 있게 겉치마 자락을 왼쪽으로 여민다. 왼손잡이일 경우 반대로 하면 된다. 
3. 속적삼을 입고 버선을 신는다.
4. 저고리를 입고 옷고름을 맨다.
5. 필요에 따라 마고자(저고리 위에 덧입는 옷)나 두루마기를 입는다.


◆옷고름 매는 법

1. 왼손은 긴 고름을, 오른손은 짧은 고름을 아래서 받치듯 손으로 들어준다.
2. 오른손의 짧은 고름을 위로 가게 해 X자 모양으로 교차시킨다.
3. 위로 올라간 짧은 고름을 긴 고름 아래에서 감아 위로 뽑는다. 이어 왼손을 위로 올려 짧은 고름을 잡은 다음 둥근 원을 만든다. 오른손으론 밑에 있는 긴 고름을 둥글게 말아 접어 짧은 고름의 원 안으로 넣어준다.
4. 양손으로 모양을 바로잡는다.

◆남자 한복 입는 법

1. 속옷을 갖춰 입은 후 바지를 입는다. 바지를 입을 땐 앞뒤를 구분해 큰 사폭(邪幅)이 오른쪽으로 작은 사폭이 왼쪽으로 가게 입는다. 사폭은 남자 한복 바지에서 허리와 마루폭 사이에 대는 네쪽의 헝겊을 말한다. 이어 바지를 왼쪽으로 여며 허리띠를 맨다.
2. 대님(발목을 졸라매는 끈)을 맨다.
3. 저고리를 입고 고름을 맨 후 그 위에 조끼를 입는다.
4. 마고자를 입는다. 마고자를 입을 땐 저고리가 마고자의 소매 끝으로 보이지 않아야 깔끔하다. 외출할 땐 위에 두루마기를 걸치면 된다.


◆대님 매는 법

1. 가운데 솔기(두 폭을 맞대고 꿰맨 줄)를 발 안쪽에 댄다.
2. 왼손으로 바짓부리를 잡고 발목을 한 번 돌려 앞서 누르고 있는 곳까지 와서 오른손으로 같이 잡는다. 남은 여유분은 왼손으로 잡고 뒤쪽으로 돌려 바깥쪽 복사뼈까지 가지고 간다.
3. 대님을 대고 두 번 돌린다.
4. 외코로 매어주면 끝난다. 반대 방향도 같은 방법으로 매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