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경련. 이승철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부회장이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 8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하기 위해 지난달 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으로 향하고 있다. /자료사진=뉴시스 |
전경련이 보수단체 등에 자금을 지원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일간지 한겨레는 오늘(6일) 전경련(전국경제인연합회)이 박근혜정부 출범 직후인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간 38개 보수·우익 단체와 개인에게 모두 61차례에 걸쳐 25억여원을 직접 지원했다는 내용을 보도했다.
한겨레는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 당국으로부터 받은 전경련 사회협력회계 관련 은행계좌 자료를 통해 이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해당자료의 2013~2016년 입출금 거래내역에 따르면 사회공헌사업 지원을 위해 운용되는 사회협력회계에 보수·우익 단체 지원이 포함된 것이 확인됐다.
한겨레는 사회협력회계 자금거래가 주거래은행 계좌를 통해서만 이뤄지기 때문에 이 입출금 내역이 지원 단체와 규모를 파악할 수 있는 결정적인 단서라고 주장했다.
자료를 보면 전경련은 보수·우익 단체에 200만원대부터 많게는 수천만원, 수억원씩의 지원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 대상 가운데는 청와대가 지원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진 국민행동본부, 어버이연합, 애국단체총협의회, 고엽제전우회 등이 모두 들어가 있다.
또 미르·K스포츠 재단, 보수단체인 부모마음봉사단·해병대전우회·시대정신·자유청년연합, 반공단체인 북한민주화네트워크·북한민주화청년학생포럼·열린북한 등도 지원을 받았다.
이들 지원 단체 다수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 반대집회를 주도하고 있어, 청와대가 그동안 전경련 자금을 동원해 관제데모를 지시했다는 의혹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한겨레는 전경련의 자금집행이 사회협력회계 취지에도 어긋난다고 주장했다. 보도는 전경련 한 간부의 발언을 인용해 이같이 주장했다. 이 간부는 “2012년까지는 전경련이 순수 사회공헌봉사단체나 문화·예술·학술단체만 지원했으나, 2013년 박근혜 정부가 출범하고 이승철 상근부회장이 취임하면서부터 보수·극우 단체들에 대한 지원이 광범위하게 이뤄졌다”고 밝혔다.
한겨레는 전경련 측에 확인을 요구했으나, 전경련은 청와대 요구로 보수·우익 단체를 지원한 것을 인정하면서도 지원단체나 지원액은 확인해줄 수 없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