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재인 사드. 사진은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 /사진=임한별 기자 |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오늘(11일)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한반도 배치와 관련, "보다 근본적인 것은 북핵을 완전히 폐기하는 것"이라며 "북핵 완전 폐기에 대한 북한의 태도 여하에 따라 (사드 배치에 대한 입장이) 달라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 후보는 이날 경남 창원시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문재인의 경남비전 기자회견'에서 자신이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이 계속 핵도발을 하고 고도화한다면 사드 배치가 강행될 수 있다'고 발언한 데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이 같이 대답했다.
그는 "나는 사드 배치는 일관되게 '다음 정부로 결정을 미뤄서 합리적인 결정을 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시종일관 요구해 왔다"면서 "'사드 배치를 그대로 하겠다' 또는 '기존의 한미 간 합의에도 불구하고 철회하겠다' 등 어느 한쪽으로 입장을 정해 놓고 다음 정부로 미루자는 것이 아니다. 그렇다면 지금 입장을 밝히는 게 맞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음 정부로 결정을 넘겨 주면 사드 배치를 하나의 카드로 삼아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외교적인 카드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 후보는 "사드는 결국 북한 핵에 대한 대응 방안 중 하나다. 그것도 방어 목적 무기다. 그 방어도 대한민국 전역에 대해서 다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평택 이후 수도권은 그 방어에서 제외된다는 것"이라며 "그렇다면 방어도 상당히 제한적인 효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만약 북한이 6차 핵실험을 강행하고 계속해서 핵 도발을 하고 핵을 고도화하면 그때는 사드 배치가 불가피할 수 있다"면서도 "그러나 북한이 추가적인 도발을 중단하고 일단 동결을 한 가운데, 완전한 (핵) 포기를 위한 협상 테이블에 나서면 그때는 사드 배치 결정을 잠정적으로 보류할 수도 있다"고 부연했다.
이어 "만약 (북한이 핵) 완전 폐기로 나가면 사드 배치는 필요 없게 된다. 그런 방안을 놓고 북한에 압박을 가하고 중국과도 외교적으로 공조해서 완전 폐기로 나가도록, 미국과 공조하면서도 그런 외교적 협의를 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