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사진=뉴스1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사진=뉴스1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오늘(17일) "의료·건강 서비스 분야에서 규제 개선, 분산형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가 창출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주 장관은 이날 경기 성남시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서울 호텔에서 열린 '바이오헬스 업계 간담회'에 참석해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전략에는 병원에 축적된 양질의 의료 정보를 산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단기적으로 분산형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의료 데이터 유통 제약 요인을 극복하기 위해 병원의 원본 데이터를 수요 기업에게 제공하는 방식 대신 병원과 수요 기업 간의 분석 결과만 거래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분산형 바이오 빅데이터 태크스포스(TF)를 발족해 현행 법체계에 저촉되지 않고 빅데이터가 조기에 구축되고 활용될 수 있는 분산형 바이오 빅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결정했다.

주 장관은 "우수한 바이오 데이터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정보보호법 등의 제약으로 바이오 빅데이터의 구축과 활용이 제한됐다"며 "우수한 데이터가 병원에만 머물러 있고 산재한 데이터가 산업적으로 활용되지 않아 비즈니스의 창출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분산형 빅데이터 구축으로 피부 유형별 맞춤 화장품, 만성질환자 생활 관리 등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송시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장은 "4차 산업혁명의 본질은 결국 빅데이터를 어떻게 구축하고 활용할 것인가의 문제"라며 "병원과 바이오헬스 업계는 물론, 정보기술(IT), 화장품 등 관련 업계와 힘을 모아 바이오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4차 산업혁명 관련 비즈니스를 선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빅데이터는 디지털 환경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로 규모가 방대하고, 생성 주기가 짧으며, 형태가 다양한 대규모 데이터를 일컫는다.

기업들은 빅데이터 환경에서 사람들의 SNS, 위치 정보 등을 통해 생각과 의견을 분석, 예측해 마케팅 전략 등을 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