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케미칼이 다국적제약사 CSL과 손잡고 만든 바이오 신약이 미국과 유럽에 이어 호주시장까지 진출하며 글로벌시장 장악력을 넓혀가고 있다.
지난 23일 SK케미칼은 혈우병치료제 ‘앱스틸라’가 호주 식약처(TGA)로부터 최종 시판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SK케미칼이 자체 기술로 개발해 지난 2009년 CSL에 기술수출한 ‘앱스틸라’는 CSL에서 생산 및 글로벌 임상, 허가 신청을 진행해왔다.
![]() |
SK케미칼이 CSL에 기술 이전한 A형 혈우병치료제 ‘앱스틸라’가 미국, 유럽, 캐나다에 이어 호주에서도 시판 허가를 획득했다. /사진=SK케미칼 |
‘앱스틸라’는 SK케미칼이 세계에서 최초로 연구개발(R&D)한 ‘단일 사슬형 분자구조’를 가진 혈액응고 제8인자다.
기존 혈우병치료제는 분리된 두 개의 단백질이 연합된 형태였지만 ‘앱스틸라’는 두 단백질을 하나로 결합시켜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했으며 주 2회 복용으로도 지속적인 출혈관리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러한 효능과 안정성을 바탕으로 ‘앱스틸라’는 지난해 5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시판 허가를 받아 국내 바이오 신약 중 최초로 미국 판매에 돌입했다. 이어 같은 해 12월에는 캐나다, 지난 1월에는 유럽에서도 시판 허가를 획득했다. 또 스위스, 일본 등에선 허가 심사 단계에 있다.
CSL은 앱스틸라가 전세계 A형 혈우병치료제시장에서 혁신적인 치료제로서 자리매김할 것으로 예상한다. CSL R&D 총괄 관리자 앤드류 커버슨 박사는 “앱스틸라의 호주 시판 허가를 통해 환자들이 보다 나은 삶을 위한 치료 대안을 얻게 됐다”고 밝혔다.
박만훈 SK케미칼 사장은 “백신·혈액제 등 바이오사업에 대한 오랜 투자를 통해 일궈낸 성과들이 글로벌에서 역량을 인증받고 있다”며 “국내를 넘어 세계 인류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투자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글로벌리서치업체 데이터모니터에 따르면 전세계 A형 혈우병치료제시장은 연 8조2000억원에 달한다. 관련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약 17% 증가한 9조5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