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5.18 기념식. 임을 위한 행진곡. 문재인 대통령(오른쪽)이 4월4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참배를 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5.18. 5.18 기념식. 임을 위한 행진곡. 문재인 대통령(오른쪽)이 4월4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참배를 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문재인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열리는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역대 최대 규모로 거행된다. 국가보훈처는 17일 '제37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과 관련해 5․18정신을 이어받아 민주화운동에 참여했던 모든 사람들, 모든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장으로 치른다고 밝혔다. 

보훈처는 18일 오전 10시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5․18민주유공자와 유족 뿐만 아니라 2․28민주운동기념사업회, 3․15의거기념사업회, 4․19혁명 관련 단체, 4․3유족회, 4․3평화재단, 4․9통일평화재단,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4․16연대 등을 비롯한 민주화운동에 참여했던 모든 사람들이 함께할 수 있는 장으로 1만명 이상이 참석하는 역대 최대 규모의 기념식을 거행할 예정이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12일 문재인 대통령 지시로 식순에 포함해 참석자 모두가 함께 부르는 '제창'으로 진행한다. 그동안 '임을 위한 행진곡'은 1997년 5․18민주화운동이 정부 기념일로 제정된 후 2008년까지 제창해 왔으나, 2009년부터 2016년까지 합창으로 진행돼 유족들의 반발을 샀다.

기념식은 '5․18정신계승, 정의가 승리하는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진행되며 개식, 국민의례, 헌화·분향에 이어 5․18민주화운동 경과보고, 기념사, 기념공연,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등 순서로 진행된다.

국가보훈처 관계자는 "문 대통령 취임 후 첫 번째 열리는 국가 기념식의 의미를 담으면서 이번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민주화운동에 참여했던 모든 분들이 불편함 없이 함께할 수 있도록 행사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