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18광주민주화운동 37주년 기념식을 하루 앞둔 17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5·18민주유공자유족회 주관으로 5·18민중항쟁 제37주년 추모제가 열리고 있다. 오월 어머니들이 헌화, 분향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오늘(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다. 이날 행사에서는 9년만에 5월의 노래인 '임을 위한 행진곡'이 제창된다.
국가보훈처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국립5·18민주묘지에서 '5·18정신계승, 정의가 승리하는 대한민국'을 주제로 5·18민주화운동 37주년 기념식을 가진다고 밝혔다.
기념식에는 5·18민주유공자와 유족 외에 2·28 민주운동기념사업회, 3·15의거기념사업회, 4·19혁명 단체, 4·3유족회, 4·3평화재단, 4·9통일평화재단,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4·16연대 등 민주화운동에 참여했던 이들과 국민 등 1만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새 정부 출범 후 처음 맞는 기념일이라 대선에 나섰던 각당 후보와 여·야 지도부 등 유력 정치인들도 모두 참석한다.
특히 이날 행사에서는 '임을 위한 행진곡'이 9년만에 제창될 계획이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5·18민주화운동이 1997년 정부기념일로 제정된 다음 2008년까지는 행사에서 제창됐으나, 2009년부터 2016년까지 '합창'으로 진행돼 유족과 민주화단체 등이 보수정부의 행사 방해라며 반발해왔다. 그러나 올해 문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지난 12일 '임을 위한 행진곡'의 제창을 직접 지시해 제창이 다시 이뤄지게 됐다.
기념식은 개식·국민의례·헌화·분향에 이어 5·18민주화운동 경과보고·기념사·기념공연·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의 순서로 진행된다. 기념식의 경과보고는 5·18 단체장이 직접한다. 경과보고는 5·18의 발생 배경과 전개 과정, 의미 등을 참석자들에게 밝히는 순서다.
경과보고는 5월 3단체 회장이 발표를 맡아왔으나 2009년부터 광주 보훈처장이 맡아왔다. 이 과정에서 경과보고 내용이 5·18을 왜곡하고 축소한다는 논란이 일기도 했다.
보훈처는 "문재인 대통령 취임 이후 첫 번째 열리는 국가기념식의 의미를 담았다. 민주화운동에 참여했던 모든 분들이 불편함 없이 함께 할 수 있도록 행사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