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트럭 & 버스 메가페어 전시장 /사진=현대차 제공
현대 트럭 & 버스 메가페어 전시장 /사진=현대차 제공

현대자동차가 상용차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25일 ‘현대 트럭 & 버스 메가페어’ 개막식에서 현대차는 앞으로 ‘지능형 안전’확보와 함께 친환경차 기술개발을 통한 지속성장이라는 상용차 연구개발 미래전략과 방향성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연비•안전•친환경의 3대 핵심기술로 상용차 미래기술을 선도한다는 것.

먼저 현대자동차는 2020년까지 차종 별로 연비를 최대 30%까지 개선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하이브리드화, 파워트레인지능화, 공력 개선/경량화 기술을 개발 중이며 소비자 운행조건에 맞는 맞춤식 연비향상지원활동을 병행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어 현대자동차는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된 상용차 안전 신기술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현재 개발된 첨단 운전자 주행지원 시스템을 소개했다.

현대자동차는 상용차에 2015년부터 자동긴급제동시스템(AEBS), 차간거리유지장치(SCC), 블루링크(BlueLink) 긴급구난보조시스템, 차로이탈경고장치(LDWS), 타이어공기압경보장치(TPMS)를 적용해 왔으며 이와 더불어 향후 차선유지 등 주행∙제동 안전 기술을 대형 상용차부터 단계적으로 적용할 방침이다.

또한 내년 제한된 조건에서 군집주행 시연을 시작으로 2020년에 대형트럭 군집주행 기술 확보를 목표로 밝혔다.


기술 개발 전략의 마지막으로 온실가스, 유해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친환경 상용차 개발 3단계 로드맵을 공개했다.

친환경 상용차 개발 로드맵은 ▲압축천연가스(CNG), 액화천연가스(LNG) 등 대체연료 적용 차량을 개발하는 1단계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상용차에 적용하는 2단계 ▲전동화 기반의 무공해 전기차, 수소전기차를 상용화하는 3단계 등으로 구성된다.

이날 현대자동차 상용 R&D 담당 탁영덕 전무는 “현대자동차 상용차는 사회적 책임과 기술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지능형 안전을 구현할 기술개발에 매진하고 있다”라며 “연비향상과 더불어 온실가스 및 유해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친환경차 개발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전기버스, 수소전기버스 등 지속 성장을 위한 기술 개발 노력을 계속해 오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