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에 합류할 사이먼 로스비 상무. /사진=현대차 제공
현대차에 합류할 사이먼 로스비 상무. /사진=현대차 제공

현대차가 또 한 명의 세계최고수준의 디자이너를 영입했다.
6일 현대자동차는 폭스바겐그룹 중국 디자인 총괄인 사이먼 로스비(50)를 중국기술연구소 현대차 디자인 담당 상무로 영입했다고 밝혔다.

이달 중순부터 현대차에 합류할 사이먼 로스비 상무는 현대디자인센터장 루크 동커볼케 전무와 함께 현대차 중국 디자인 전략과 방향성을 수립하고 중국 시장 특성을 반영한 현지 전략 모델의 디자인 개발을 맡는다.


또한 폭스바겐의 중국디자인센터 근무경험을 살려 현대차그룹 중국기술연구소 디자이너들의 육성과 인재확보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이먼 로스비 상무는 10년 가까이 중국 소비자들의 기호를 연구하고 이를 차 디자인에 담아내면서 중국 자동차 디자인 업계 최고 전문가로 인정받는다.

그는 런던대학교 기계공학과와 영국왕립예술학교(Royal College of Art) 자동차 디자인 석사과정을 거쳐 1991년 롤스로이스와 벤틀리에서 자동차 디자이너로서의 경력을 시작, 30대 초반에 벤틀리 선임 디자이너로 임명됐다.


당시 롤스로이스 실버 세라프(Silver Seraph), 벤틀리 아르나지(Arnage) 등 다양한 럭셔리카 디자인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특히 벤틀리 컨티넨탈 GT 1세대 디자인을 주도하면서 역량을 인정 받았다.

2001년부터 폭스바겐 독일본사에서 디자인전략 수립과 선행디자인 업무를 수행했으며 2008년에는 폭스바겐그룹의 중국 디자인 총괄로 임명돼 중국현지에서 중국전용모델과 글로벌모델의 중국형 디자인 개발을 담당했다.

사이먼 로스비 상무는 최근까지 상하이와 베이징에 각각 위치한 상하이 폭스바겐과 이치 폭스바겐의 디자인 스튜디오를 총괄 운영했으며 스코다 브랜드의 중국 디자인 개발까지 맡았다.

중국에서 근무하면서 폭스바겐의 중국 전용모델인 산타나(Santana), 뉴 라비다(New Lavida), 중국형 파사트(Passat) 등을 디자인했으며 2016년에 양산돼 호평을 받은 라만도(Lamando), 피데온(Phideon)은 사이먼 로스비가 디자인한 콘셉트카 NMC, C Coupe GTE를 양산한 차들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앞으로 중국고객을 사로잡는 중국전용모델들의 디자인 개발뿐만 아니라 현대차의 중국시장과 상품전략수립 등 다양한 관점에서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