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이 19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1번가' 앞에서 학교 비정규직 정규직화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이 19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1번가' 앞에서 학교 비정규직 정규직화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계획에 무기계약직을 포함해줄 것을 요구했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은 19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1번가' 앞에서 학교 비정규직 정규직화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문재인정부를 향해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35%에 달하는 학교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위한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현재까지 발표된 공공부문 비정규직 대책에는 학교 비정규직과 무기계약직의 대책이 빠져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며 "지속 가능한 소득 주도 성장을 이루려면 일자리의 양만큼 질이 담보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영양사, 사서, 전문상담사, 행정실무사 등 학교 비정규직 상당수 직종이 공무원을 대신해 채용돼 동일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며 "문재인 대통령이 강조한 동일가치 노동, 동일임금 지급 원칙이 이와 같은 차별을 바로잡는 데서 시작돼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들이 공개한 경기교육연구원의 2014년 학교무기계약직 3947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43.5%가 자신과 동일한 직무의 정규직과 업무 차별을 받고 있으며 56%는 무기계약직 전환 후에도 기간제 신분에서 달라진 것이 없다고 응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