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시 불필요 수준. GMO 라면.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사진=이미지투데이
표시 불필요 수준. GMO 라면.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사진=이미지투데이

식품 당국이 시중에 판매 중인 매출 10위 내 라면 절반에서 유전자변형농산물(GMO)이 검출된 것과 관련해 조사한 결과 미국산 밀·밀가루가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30일 라면 제품에 GMO 대두·옥수수가 검출된 경위를 조사한 결과 면의 원료가 되는 미국산 밀·밀가루에 GMO 대두·옥수수가 미량 혼입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GMO 대두·옥수수의 혼입 경로를 확인하기 위해 라면 면의 원료가 되는 밀·밀가루에 대해 수입 국가별로 조사를 실시했다.


미국·호주·캐나다에서 수입된 밀·밀가루 총 82건을 수거·검사한 결과 미국산 밀·밀가루에서 안전성 심사를 거쳐 식용으로 승인된 GMO 대두·옥수수가 17건 검출됐다.

미국산 밀·밀가루에서 검출된 GMO 대두·옥수수 혼입 비율은 평균 0.1%(최고 0.39~최저 0.02%) 수준이었다. 호주·캐나다산 밀·밀가루에서는 GMO 대두·옥수수가 검출되지 않았다.

혼입 경위를 조사한 결과 GMO 대두·옥수수가 현지 보관 창고·운반 선박 등에 일부 남아 있어 밀·밀가루 운송 과정에 섞여 들어간 것으로 드러났다.


식약처 관계자는 "2011년 독일 정부 조사에 따르면 밀·옥수수 등에 승인된 GMO 대두가 0.1% 이하로 검출됐으며 이 정도 혼입은 기술적으로 불가피하고 표시는 불필요하다고 결정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나라도 비의도적으로 혼입되는 상황을 고려해 수입 밀에 대해 대두·옥수수 등 다른 곡물이나 흙 등 이물질이 5% 이내로 통관되도록 관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미국산 밀 수입 업체에 대해 원료 관리를 더욱 철저히 하도록 하고 미국산 밀 수입 시 대두·옥수수의 혼입 여부를 확인해 혼입된 경우 승인된 GMO 대두·옥수수인지를 검사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이어 "유통 단계에서도 GMO 표시에 대한 정기적인 지도·점검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역설했다.

앞서 한 언론은 국시중에 판매 중인 매출 10위 내 라면 절반에서 GMO가 검출됐다고 보도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