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빗길 제동거리. /자료사진=뉴시스 |
장마철 안전 운전에 유의해야 한다. 빗길 제동거리가 마른노면에 비해 1.6~1.8배 증가한다는 실험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교통안전공단이 10일 발표한 2012~2016년 교통사고 발생 현황 분석 결과에 따르면 7~8월 빗길 교통사고는 월 평균 2320건이 발생해 평상시 대비 7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사망자도 59명이 발생해 평상시 대비 66% 증가했다.
최근 5년 기상 상태별 교통사고 치사율(사고 100건당 사망자 수)을 비교해 보면 맑은날 교통사고는 2.02명인 반면 빗길 교통사고는 2.58명을 기록했다.
이처럼 빗길에서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교통사고 치사율이 높은 이유는 빗길에서 제동거리가 급증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공단이 지난 6일 시행한 '차종별 빗길 제동거리 시험'에 따르면 모든 차종의 빗길 제동거리가 증가했다.
시험은 버스·화물차·승용차가 시속 50㎞ 주행 중 제동했을 때 마른노면과 젖은노면에서 제동거리 차이를 분석했다. 버스는 마른노면에서 17.3미터, 젖은노면에서 28.9미터로 1.7배, 화물차는 마른노면에서 15.4미터, 젖은노면에서 24.3미터로 1.6배, 승용차는 마른노면에서 9.9미터, 젖은노면에서 18.1미터로 1.8배 증가했다.
공단은 빗길에서는 평상시 대비 20% 이상 감속하고, 앞 차와의 안전거리도 평소보다 2배 이상 확보할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수막현상(물 위에 차가 떠 있는 현상)을 피하기 위해 타이어 공기압을 10% 상향하고, 타이어 상태도 수시로 점검해 마모가 심한 경우 미리 교체할 것을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