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지난 25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과학기술인 현장간담회' 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조성봉 기자 |
박근혜 정부의 핵심 부처로 꼽혔던 미래창조과학부가 막을 내렸다.
미래부는 26일 자정을 기해 이름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바꾸고 과학기술과 정보통신 등 범기술관련 독립 부처로 첫걸음을 뗐다.
유영민 장관이 이끌게 될 과기정통부는 부처명에 과학 및 정보통신 이라는 단어를 명확히 새겨 넣고 전 정부 시절의 ‘미래창조’라는 애매한 단어를 제거함으로써 업계의 환영을 받았다. 부처명에 정보통신이라는 표현이 들어가는 것은 지난 이명박 정부 이후 약 9년만이다.
미래부는 애매한 명칭 탓에 업계의 비아냥을 샀다. 특히 ‘창조경제’의 핵심 주무부처로 활동한 만큼 비난의 강도는 거셌다. 창조의 영어 표현인 ‘크리에이티브’가 과학기술과 어울리지 않는 표현이며 외국에서 봤을 때 무속신앙과 관련된 요소로 오해할 것이라는 주장도 있었다.
새 정부의 이번 조치는 ‘창조경제’라는 표현을 제거해 전 정부의 좋지 않은 기억을 희석함은 물론 차별성을 강조하기 위한 방안인 것으로 알려졌다.
부처명이 변경됨과 동시에 과기정통부의 직제도 일부 변경됐다. 차관급 조직인 과학기술혁신본부가 장관 직속으로 신설됐다. 과학기술혁신본부는 과기 정책을 총괄하는 한편 R&D 사업예산의 심의·조정·성과평가를 전담하게 된다.
창조경제관련 업무가 중소벤처기업부로 이관되면서 1차관 소속의 창조경제조정관, 창조경제정책국, 실장급 과학기술전략본부도 사라졌다. 이에 따라 전체 정원도 감소했다. 미래부 시절에는 3실·1본부·12관·5국 등 총 816명이었던 크기는 과기정통부체재에서 3실·13관·6국 등 총 777명으로 39명 줄어들게 된다.
정부 한 관계자는 “이전 정부에서는 ‘창조’라는 애매한 표현 때문에 내부에서도 논란이 많았다”며 “4차 산업혁명을 주도와 일자리 창출이라는 시대적 소명을 안게 된 만큼 실체있는 모습으로 업무에 임할 것”이락 의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