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능. 1년 유예하기로.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지난 3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안 1년 유예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
교육부가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안을 1년 유예하기로 하자 직접적인 영향권에 놓여 있는 현재 중학교 2·3학년 학부모들이 우려를 나타냈다.
교육부가 지난 31일 수능 개편을 1년 유예하는 방안을 발표하자 새로운 수능 개편 적용 대상이 된 중2는 수능을 포함한 대대적 입시 개편 예고에 따른 불안감에 휩싸였고, 기존의 수능 개편 적용 대상이던 중3은 교육과정과 수능 체제의 불일치에 따른 학습 혼란 등을 우려했다.
중2 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이번 수능 개편 유예 결정에 막막함을 토로했다.
현재 고1, 중2 자녀를 둔 A씨(45)는 "고1 엄마 입장에서는 한숨을 돌렸는데 중2 엄마 입장에서는 한숨만 나온다"며 "기존 계획대로라면 중3이 첫 개편 대상이라 사실 강 건너 불구경인 줄 알고 넋 놓고 있었는데 (이번 발표로) 뒤통수를 아주 세게 맞았다"고 주장했다.
A씨는 "교육부가 의견수렴 과정을 통해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추상적인 입장만 전했는데 앞으로 1년 동안 뭘 어떻게 해야할지 가이드라인이 없어 막막하기만 하다"고 걱정했다.
현재 중3, 중2 자녀를 둔 B씨(46)는 "예고도 시안에도 없던 수능 1년 유예에 할말을 잃었다. 첫째, 둘째 모두 교육부의 실험 대상만 됐다"며 "첫째랑 둘째가 한살 차인데 수능이나 대입 제도는 극과 극이 될 판이다. 앞으로 동시에 입시 준비를 해야 할 텐데 혼란스럽기만 하다"고 토로했다.
중3 자녀를 둔 학부모들도 부담감을 호소했다.
A씨는 "교육부가 의견수렴 과정을 통해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추상적인 입장만 전했는데 앞으로 1년 동안 뭘 어떻게 해야할지 가이드라인이 없어 막막하기만 하다"고 걱정했다.
현재 중3, 중2 자녀를 둔 B씨(46)는 "예고도 시안에도 없던 수능 1년 유예에 할말을 잃었다. 첫째, 둘째 모두 교육부의 실험 대상만 됐다"며 "첫째랑 둘째가 한살 차인데 수능이나 대입 제도는 극과 극이 될 판이다. 앞으로 동시에 입시 준비를 해야 할 텐데 혼란스럽기만 하다"고 토로했다.
중3 자녀를 둔 학부모들도 부담감을 호소했다.
현재 중3 자녀를 둔 학부모 C씨(45)는 "수능 개편시안 발표 때에는 1, 2안 중 하나만 결정한다고 했는데 불과 며칠 만에 이를 뒤집었다"며 "그럴거면 개편안은 왜 발표해서 현장만 혼란스럽게 하는가"라고 강조했다.
C씨는 "학교 수업은 새 교육과정으로, 수능은 옛 교육과정 체제인데 지금 고1이나 중2보다 내신·수능 대비 부담이 커질 것 같아 큰 걱정이다"라고 전망햇다.
현재 중3 자녀를 둔 학부모 D씨(45)는 "'교육과정 따로 수능 따로'라면 결국 수능 대비는 학원에 더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 같다"고 예측했다.
현재 중3 자녀를 둔 학부모 D씨(45)는 "'교육과정 따로 수능 따로'라면 결국 수능 대비는 학원에 더 의존할 수밖에 없을 것 같다"고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