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약은 식후 30분→식사 직후.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사진=이미지투데이 |
서울대병원 약사위원회는 27일 환자들에게 처방하는 의약품 복용 시간을 '식후 30분'에서 '식사 직후'로 변경한다고 발표했다. 약사위원회는 아침·저녁 등 특정 시간에만 복용하도록 나온 제품을 제외한 모든 처방 의약품에 이 기준을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김연수 부원장이 주관하는 약사위원회는 서울대병원에서 처방하는 모든 의약품의 도입·퇴출, 복용법 가이드라인을 결정하는 의사결정기구다. 김 약사위원장은 "병원을 이용하는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약 복용법을 바꾼 것은 치료 효과를 염두에 둔 조치"라며 "환자들의 약 복용률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희망했다.
서울대병원이 국내 의료계의 오랜 관행으로 굳어진 복용법을 바꾼 배경은 의학적인 근거가 부족하고 환자들이 시간을 지키려다 오히려 약을 복용하지 않는 등 부작용이 크다는 판단에서다.
약은 종류와 성격에 따라 '식후'와 '식전', '취침 전'으로 복용법이 구분된다. '식후'는 음식물과 함께 복용하면 치료 효과가 높아지거나 위 점막을 보호할 때, '식전'은 밥을 먹기 전에 복용하면 치료 효과가 높아질 때 처방한다. '취침 전'은 변비약이나 졸음을 일으키는 항히스타민제를 먹는 환자들이 대상이다.
서울대병원 약제부 관계자는 "주요 선진국 사례를 보니 하루에 먹는 약의 횟수만 정할 뿐 식사 후 30분에 먹도록 권장하는 곳은 없었다"며 "식사 직후로 약 복용법을 바꾸는 것이 환자들에게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