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철도공단이 원자재가격 급등에 따른 시공사들의 입찰 포기 사태를 막기 위해 설계·시공 일괄입찰(턴키) 공사 발주 전 자재가격 상승분을 공사비에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16일 밝혔다.
철도공단은 지난달 발주한 남부내륙철도 턴키 공사(2개 공구)에 이어 광교-호매실 복선전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B 등 연말까지 4개 사업 13개 공구를 발주 예정이다.
턴키 공사는 설계에서 시공까지 건설업체가 모든 책임을 부담하고 '정부 입찰·계약 집행기준'에 따라 기본계획 발표 후 입찰에 이르는 기간에 발생한 물가 변동을 계약 금액에 반영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에 따른 급격한 물가상승이 시공사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다는 평가다. 철도공단은 총사업비 자율 조정 협의를 통해 발주 전 물가 변동분을 선반영하는 방안을 정부와 협의해 추진하기로 했다.
김한영 국가철도공단 이사장은 "물가 변동과 같이 공사 외적 요인에 따른 비용까지 시공사에 전가하는 것은 공정 경제정책에 어긋난다"며 "원자잿값 급등에 따른 현장의 어려움을 해소해 철도사업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