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3년간 발생한 건설업 사망사고는 발주 유형과 공사 규모 등에 따라 원인이 모두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자 중 다수가 민간 50억원 이하의 소규모 사업에서 발생했다. 사망사고와 관련한 다양한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안전관리 방안을 세분화하고 사고 저감을 위한 맞춤형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8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CSI(건설공사 안전관리 종합정보망) 자료를 활용한 국내 건설업 사망사고 심층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CSI 데이터를 활용해 건설업 사망사고 발생 현장의 특징과 사고의 인과관계, 사고사망자 특성 등을 파악했다.
구체적으로 건설업 사망사고와 인과 관련 정보 등 분석을 실행했다. 그 결과 건설업 사고사망자 중 다수가 민간공사 현장, 50억원 이하의 소규모 사업에서 발생해 50억원 미만 소규모 현장에 대한 맞춤형 대책 필요성이 제기됐다.
최근 3년간 발생한 건설업 사망사고자 739명 중 민간공사 현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전체의 69%, 공공은 31%였다. 공사 규모별로는 50억원 미만의 소규모 공사가 전체 사망사고자의 48%였으며 300억원 이상의 대규모 공사가 32%로 조사됐다.
건설업 사망사고 원인으로는 떨어짐(50%) 깔림(19%) 물체에 맞음(9%)의 세 가지 사고유형이 전체 사고의 78%에 달했다. ▲떨어짐 21.0% ▲깔림 9.4% ▲물체에 맞음 24.2%가 '작업자의 단순과실'로 인해 발생했다. 그 다음으로 비중이 컸던 사고원인인 '부주의'는 ▲떨어짐 8.3% ▲깔림 5.8% ▲물체에 맞음 1.5%에 해당했다.
이지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안전사고가 작업 환경 등과 같은 외부적 요인이 아니라 작업자의 실수에서 비롯된다는 것은 개별 작업자에 대한 안전교육 강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미"라며 "근로자의 부주의한 행위를 사전에 모니터링하고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스마트 안전기술 도입·활용에 관한 검토도 요구된다"고 말했다.
떨어짐 사고는 가시설이, 물체에 맞음과 깔림 사고는 건설기계에 의해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떨어짐 사고 방지를 위해선 초기 가시설이 설치되는 시점에서의 안전점검을 강화해야 하며 물체에 맞거나 깔리는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현장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건설기계에 대한 지침 강화 등을 고려해야 하는 시점이다.
발주유형과 공사 규모별 분석 결과 사고 관련 특성이 각각의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50억원 미만의 민간 소형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떨어짐 사고사망자 비중이 압도적으로 컸다. 떨어짐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 작업자의 단순과실과 부주의로 인한 사망사고 역시 소형 사업장에서 더 많이 발생했다.소형공사 현장에서 개별 근로자에 대한 안전교육 강화를 비롯해 지속적인 현장관리를 요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작업프로세스 중 설치작업과 해체작업에서 발생하는 사고사망자가 많았고 설치작업과 해체작업 모두 공공보다는 민간공사 현장에서 더 높은 비중을 보였다. 공정률 측면에선 안전관리 체계의 완성도가 낮은 공사 초기(공정률 10% 미만)와 준공을 앞둔 시점에서 발생하는 경우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착공 초기의 안전관리 체계 완성도 미흡과 준공압박 등이 안전사고 발생 요인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 부 연구위원은 "대형 사업장일수록 건설기계로 인한 사망사고가 많았던 반면 공사 규모가 작을수록 가시설로 인한 사망사고 비중이 높았다"며 "다수의 건설기계가 활용되는 대형 사업장에서는 현장관리를, 소규모 현장에 대해서는 초기 가시설이 설치되는 시점에서의 안전점검을 각각 강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민간 소규모 사업에 대해 착공 초기의 안전관리 고도화·교육강화 방안과 사업의 적정공기 산정·적용 체계 마련이 요구된다"며 "사고사망자의 연령대가 주로 50세 이상인 점은 건설현장에서의 인력 고령화를 보여주는 것으로 개별 근로자에 대한 안전교육 강화와 더불어 젊은 인력 유입을 촉진하기 위한 지원 정책이 마련돼야 함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