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들이 제22대 총선 결과와 관련 "독단과 불통 대신 소통과 협의를 통한 정책을 추진하라는 국민의 목소리"라고 평가했다. 정부의 독단적인 의대 증원 정책 추진 방식에 대한 심판이라는 의견이다. 이번 총선에서 범야권이 과반 의석 이상을 차지하면서 집권당인 국민의힘이 참패했다.
지난 11일 뉴스1에 따르면 서울의대 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오후 입장문을 내고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이번 선거 결과를 두고 많은 이들이 여당의 참패이자 정부에 대한 국민의 준엄한 심판이라고 말하지만 정부를 심판하기로 선택한 국민들의 마음이 편하지만은 않을 것"이라며 "서울의대 서울대병원 교수들의 마음도 착잡하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어 이번 총선 결과는 국민들의 정부 의료 개혁 방식에 대한 비판이라고 지적했다. 비대위는 입장문에서 "많은 국민들이 의료 개혁이라는 대의에 동의하고 있다"면서도 "어떤 정책이든 합리적인 근거와 충분한 의견 수렴을 통해 합의점을 찾아 나아가는 민주적인 절차를 따르지 않는다면 기나긴 파행을 거쳐 국민의 지지를 잃게 된다는 것을 이번 선거 결과가 여실히 말해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의료 파국을 막기 위해 전공의들이 돌아올 수 있는 환경을 만들 것을 촉구했다. 전공의들이 떠난 후 남은 의료진과 교수들이 주 80시간에서 100시간 이상 근무하고 있지만 수련병원들은 적자를 겪고 있다. 이에 따라 큰 병원에서도 급여를 깎거나 희망퇴직을 받는 곳이 늘고 있다. 이들은 "희소 질환과 중증 환자의 진료, 지역 필수 의료를 책임지며 버텨온 병원들이 무너지기 시작한다면 그 상처는 회복할 수 없을 정도로 깊고 오랫동안 지속될 것"이라고 호소했다.
비대위는 이번 의료사태로 우리나라 의료 시스템 이면의 문제가 드러났다고 짚어내며 정부의 신속한 조치를 요구했다. 우리나라 의료 체계는 전공의들의 값싼 노동력과 필수 의료분야 의료진들의 희생으로 유지돼왔다고 비판한 것이다. 병원은 전공의의 '값싼 노동력'만 원하는 곳이 아니라 전공의들이 '미래 설계와 수련'에 전념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어 정부는 물론 의사들도 국민을 위한 진정한 의료 개혁에 나설 필요성도 있다고 언급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의료 개혁에 대한 의지는 의료계뿐만 아니라 국민들과 함께 머리를 맞댈 때 숭고한 가치를 빛낼 수 있을 것"이라며 "숫자에 매몰된 소모적인 논쟁을 이제는 멈추고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의사 증원 규모와 필수 의료·지역의료의 미래를 논의하는 장을 마련해주시길 정부에 간곡히 요청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