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도심의 대형 호텔이 용적률(대지면적 대비 건축물 연면적 비율) 규제완화를 통해 오피스·주거·상업용부동산 등 복합시설로 재탄생할 계획이다.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침체에 빠진 호텔시장이 재개발을 통해 새롭게 부동산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지 투자시장의 관심이 모인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밀레니엄 서울 힐튼 ▲르메르디앙(리츠칼튼) ▲청담 프리마 ▲서초 쉐라톤 팔래스 강남 ▲글래드 라이브 강남 ▲이태원 크라운 관광호텔 ▲아벤트리 종로 등 대형 호텔들이 용도 변경을 계획하고 있다.
이지스자산운용은 2021년 말 약 1조1000억원에 밀레니엄 서울 힐튼 호텔을 인수했다. 2027년까지 랜드마크급 오피스·호텔 복합시설(연면적 약 26만㎡)로 개발할 계획이다.
강남 르메르디앙 부지에는 현대건설과 메르츠금융그룹 마스터투자운용 등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이 오피스·호텔·판매시설 31층 규모의 빌딩을 건축하기로 했다. 서초 쉐라톤 팔래스 강남도 용도변경을 통해 오피스나 주상복합 등으로 재개발할 예정이다.
뉴국제호텔은 지난해 GRE파트너스자산운용이, 티마크호텔 명동은 2021년 이지스자산운용이 매입해 오피스로 개발하고 있다. 두 건물은 올해 오피스 시장 공급을 앞두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관광객 감소로 문을 닫는 호텔이 늘면서 이 같은 투자 움직임이 빨라졌다. 현재 관광객 수요가 회복되고 있지만 호텔 운영수익대비 오피스·주거시설의 분양수익이 높아 투자사들은 호텔 용도변경을 통한 재개발을 목표로 투자 규모를 늘리기 시작했다.
강남 권역의 호텔 부지들은 하이엔드(high-end) 오피스텔 개발을 원하는 개발사들에 인기가 높다. 글로벌 부동산컨설팅업업체 '컬리어스 코리아'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호텔 자산의 거래 규모는 5조 8000억원으로 역대 최대 수준에 달했다.
장현주 컬리어스 코리아 리서치팀 이사는 "고금리와 공사비 상승으로 주거시설로 용도변경 개발에 대한 관심은 줄고 있다"며 "대신 한정된 공급과 견고한 수요로 시장 안정 흐름을 보이는 오피스로의 전환이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