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종문 삼성증권 대표가 정부의 자본시장 선진화 방안인 '밸류업 프로그램(기업가치 제고 계획)'에 동참을 서두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 대표는 29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금융위원장·증권사 CEO(최고경영자) 간담회'가 끝난 후 기자와 만나 밸류업 프로그램 시행 계획에 대한 질문에 "(밸류업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위해 준비 중이며 최대한 빨리 동참할 것"이라며 "조만간 시행할 수 있도록 노력 하겠다"고 답했다.
밸류업 프로그램 계획을 구체화 해 최대한 빨리 시행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은 코리아 디스카운트(국내 증시 저평가)를 해소하고 국내 기업 성장과 국민 자산 증식을 돕기 위해 정부가 추진 중인 정책이다.
특히 금융당국은 증권사가 자본시장의 핵심 플레이어인 만큼 밸류업 프로그램의 안착을 위해 노력해줄 것을 강조해 왔다. 증권사는 밸류업 정책의 최대 수혜업종으로 꼽힌다. 밸류업 정책을 통해 상장사 주가가 오르면 기업도 좋지만 주식을 중계하는 증권사도 수수료 수익이 늘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10대 증권사 중에선 미래에셋증권과 키움증권 등 2개사만 참여했다. 밸류업 계획을 내놓기 위해서는 ROE 등 목표를 설정해 발표해야 한다. 증권사들은 ROE 등 목표를 구체화 하는데 부담스럽다는 입장이다.
수수료 수익에 의존하던 과거와 달리 투자와 운용 수익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지난해만 하더라도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충당금을 쌓으면서 ROE가 급격히 낮아진 바 있다.
여기에 기존에도 배당과 자사주 매입 등이 적지 않은 점도 증권사들이 밸류업 공시에 소극적인 이유다. 추가 주주환원 정책이 제한적이라는 주장이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밸류업 프로그램 자체가 단기간에 승부를 보는 프로그램이 아닌 만큼 장기적인 관점에서 꾸준히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