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로봇업계 화두 중 하나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가격이다. 2년 전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테슬라봇'(현재 옵티머스) 개발을 발표할 당시 '2만달러'(약 2700만원) 이하 가격대를 언급했고 이후 '2만달러'가 마치 휴머노이드 로봇 가격의 기준처럼 사용된다.
물건 옮기고 요리하는 '이족보행' 로봇
로봇업계는 휴머노이드 로봇 가격이 기술력과 동일시되는 것을 경계한다. 중국 로봇업체들은 '2000만원대'를 구현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데 가격만 저렴할뿐 쓰임새가 별로 없는 경우가 많다.최근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된 '2024 월드로봇컨퍼런스'(WRC·世界机器人大会)에서도 유니트리(Unitree), 유비텍(UBTECH), 애지봇(AGIBOT) 등의 업체들이 27종의 새로운 휴머노이드 로봇이 전시했다.
유니트리는 2000만원대 휴머노이드를 내놓겠다고 발표했고 요리를 하거나 산업현장에 투입도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앞서 유니트리가 공개한 유튜브 영상에서는 개발자가 로봇을 발로 밀어도 넘어지지 않고 중심을 잡는 장면이 담겼다.
|
로봇업계 관계자는 "단순히 사람처럼 움직이는 이족보행 로봇은 이미 100만원대도 찾아볼 수 있다"며 "이런 로봇들은 사람처럼 움직이기만 할 뿐 실제 활용은 어렵다"고 지적했다. "일부 업체들의 로봇 영상은 자신 있는 동작을 짜깁기한 게 대부분"이라고도 했다.
관련업계에서 꼽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최강자는 현대자동차그룹이 인수한 미국 보스턴다이내믹스다. 대표적인 휴머노이드 제품 '아틀라스'는 마치 체조선수처럼 뛰어다닐 수 있다. 연속해서 장애물을 뛰어넘거나 백텀블링을 하는 등 파쿠르 동작도 구현 가능하다.
상용화하지 못한 것은 군사용으로 개발한 탓에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수준보다 한참 높은 스펙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아틀라스는 당장 대중화보다는 기술적 상징성을 보여주는 목적으로 활용하는 부분이 크다.
이런 이유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유압식보다 전자식 액추에이터를 활용하는 게 대세다. 테슬라를 필두로 중국업체들은 모두 전자식을 쓴다. 보스턴다이내믹스도 전자식 액추에이터를 활용한 아틀라스 후속을 발표했고 로봇이 수차례 팔굽혀펴기를 하는 영상을 공개하며 내구성을 과시했다.
유압식과 전자식 휴머노이드 로봇을 모두 구현 가능한 회사는 보스턴다이내믹스를 빼면 한국의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유일하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국내 대표 로봇 '휴보'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설립됐다.
저가 휴머노이드는 아직 비싼 장난감
|
로봇업계에서는 2000만원대 휴머노이드는 비싼 장난감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집안일 등을 스스로 판단해서 해결하지 못하는 데다 내구성도 검증되지 않아서다.
업계 관계자는 "2000만원대라는 상징적 가격은 당장 1가구 1로봇 시대가 열릴 것처럼 환상을 갖게 만드는 마케팅 요소가 다분하다"며 "로봇은 활용처가 분명해야 가치가 있는데 현재 가격을 먼저 앞세우는 휴머노이드 로봇들은 그저 사람을 닮은 비싼 장난감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산업현장에서도 휴머노이드 로봇을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있지만 1~2대를 시범 운영하는 수준이고 AI가 탑재돼야 활용도가 극대화된다"고도 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식당 서빙 로봇이나 로봇 청소기는 이미 중국산이 점령한 상태"라며 "휴머노이드도 중국산이 낮은 수준부터 시장을 장악하면 높은 수준의 로봇도 거부감이 줄어들게 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