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서울모빌리티쇼에 참가한 자동차 부품업계가 트럼프의 관세 정책 등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사진은 서연이화 부스. /사진=김창성 기자
2025서울모빌리티쇼에 참가한 자동차 부품업계가 트럼프의 관세 정책 등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사진은 서연이화 부스. /사진=김창성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잘 나가야 관련 부품업계도 덩달아 성장합니다."

4일 공식 개막한 2025서울모빌리티쇼 참가 자동차 부품업체 관계자들은 입을 모아 이 같이 말했다. 미래 모빌리티 전환기에 자동차 부품업계도 새 시대 전환에 박차를 가하며 성장이 지체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는데 대내외 경영 환경의 변수가 너무 많아 고충이 가득하다며 이 같이 토로했다.

미래 모빌리티 전환기, 트럼프발 위기에 근심 가득

이들이 한 목소리로 걱정하는 사안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이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 여파에 현대차·기아에 직접적인 타격이 올 경우 이와 연관된 수많은 부품업체까지 연쇄적인 어려움이 닥칠 것을 우려해서다.


미국 현지로 직접 수출을 하는 부품업체도, 현대차·기아가 만드는 자동차에 자사 제품을 납품하는 부품업체도 모두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한 걱정이 가득하다.

2025서울모빌리티쇼에는 미래 모빌리티로의 전환을 대비하며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는 자동차 부품업체들이 한 자리에 모여 전동화·친환경·지능화 등 다양한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현대모비스를 비롯해 서연, 명화공업, 모트렉스 등 유망 자동차 부품업체들이 자동차와 운전자의 상호작용을 혁신하는 지능형 디스플레이,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차의 효율성과 성능을 높이는 전동화 부품,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친환경 소재 및 제조 공정 등을 소개한다.
2025서울모빌리티쇼에 참가한 자동차 부품업계가 트럼프의 관세 정책 등에 위기감을 토로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당부했다. 사진은 모트렉스 부스. /사진=김창성 기자
2025서울모빌리티쇼에 참가한 자동차 부품업계가 트럼프의 관세 정책 등에 위기감을 토로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당부했다. 사진은 모트렉스 부스. /사진=김창성 기자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ADAS 솔루션 및 미래 모빌리티 전환을 위한 고성능 모터 제어 기술과 배터리 열관리 시스템 등의 필수 기술도 이들 업체를 통해 만날 수 있다.

"현대차·기아의 위기 돌파, 정부 지원 대책 필요"

다양한 선도기술을 앞세워 2025서울모빌리티쇼를 찾은 관람객을 맞고 있지만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에 대한 걱정도 토로한다.


자동차 자동변속기 부품과 브레이크 디스크, 워터 펌프 등을 생산하는 명화공업의 해외영업팀 관계자는 "회사 매출의 대부분이 현대차·기아에서 나오는데 관세 여파가 현대차·기아에 타격을 주지 않을까 걱정된다"며 "관세를 부담해야하는 회사 입장에선 이익이 줄기 때문에 그만큼 어떻게 매출로 다시 회수를 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고 짚었다.

이어 "어려운 상황을 인지하고는 있지만 아직까진 회사에서 직접적으로 대안을 마련하거나 그러지는 못하고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며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위험 요인을 제거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자동차용 인포테인먼트 전문 기업 모트렉스 관계자 역시 비슷한 시각이다. 모트렉스 관계자는 "현대차·기아에 AVN(Audio·Video·Navigation)과 여러 전장 부품을 납품하고 있는데 멕시코 공장을 통해 들어가는 부품 등이 관세 영향을 받게 된다"며 "당장은 아니지만 멕시코 공장의 미국 이전까지 검토 할 만큼 이번 관세 정책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토로했다.
2025서울모빌리티쇼에 참가한 자동차 부품업계가 "현대차·기아의 위기는 곧 부품 업계의 위기"라며 한 목소리로 정부의 트럼프 관세 정책 대응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사진은 명화공업 부스. /사진=김창성 기자
2025서울모빌리티쇼에 참가한 자동차 부품업계가 "현대차·기아의 위기는 곧 부품 업계의 위기"라며 한 목소리로 정부의 트럼프 관세 정책 대응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사진은 명화공업 부스. /사진=김창성 기자

이어 "관세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고수익을 낼 수 있는 제품을 만들고 이를 새 시장에 팔기 위한 발굴에 힘쓰고 있다"며 "기업이 스스로 노력하는 만큼 정부도 적극적이고 가시적인 대안을 마련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자동차 도어트림과 각종 내장재 등을 만드는 서연이화 관계자는 "국내 대부분의 부품기업은 현대차·기아 의존도가 크고 서연이화의 주 고객사도 현대차·기아"라며 "대부분의 수익이 현대차·기아를 통해 발생되기 때문에 현대차·기아가 받는 타격은 부품기업에게도 그대로 전달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대차·기아는 글로벌 기업이기 때문에 트럼프 관세 정책 위기를 지혜롭게 돌파해 갈 것이라 믿는다"며 "현대차·기아의 성장에 뒷받침 되고 있는 수많은 부품 기업의 생존을 위해 정부도 적극적인 지원에 힘써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