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고령화에 따른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서 생애 주기별 자산관리를 위한 자산운용업계의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는 김 위원장, 서유석 금투협회장을 비롯해 미래에셋 삼성 한화 자산운용 등 10개 운용사 CEO(최고경영자)들이 참석했다.
이날 김 위원장은 "연금은 오랜 시간 검증된 가장 탄탄한 노후 수단인 만큼 자산운용업계가 안정적 장기투자형 연금 상품 개발에 힘써 줄 필요가 있다"며 "TDF 위주의 펀드 투자가 이루어지는 해외 사적연금시장을 볼 때, 우리 사적연금 시장의 발전도 운용사의 역량에 달려있으며 운용업계가 안정적 장기투자형 연금상품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했다.
전날 정부의 연금 개혁 추진 계획을 발표하며 퇴직연금 혁신을 통해 서민과 중산층의 노후보장도 당부했다. 이를 위해 운용업계가 상품 출시에 만전을 기할 것을 요청했다. 김 위원장은 "금융위는 로보어드바이저를 활용한 일임형 퇴직연금 샌드박스, 퇴직연금 갈아타기 시스템 구축 등을 추진하고, 사적연금 시장에서 다양한 상품이 출현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운용업계가 건전한 시장 형성을 위한 노력에도 힘써줄 것을 주문했다. 그는 "그동안 자산운용업계는 상장지수펀드 베끼기, 수수료 인하, 형식적인 의결권 행사 등 단기적 수익추구에 치중하느라 장기적인 기업가치 제고 노력에는 소홀한 측면이 있다"고 지적하며 "자본시장 밸류업을 위해 자산운용업계가 자산관리자이자, 자본시장의 주요한 투자자로서 적극적으로 의결권을 행사해 달라"고 했다.
또한 "양적인 성장 외에도 질적 성장을 통한 건전한 시장발전이 필요하다"며 "특정 자산과 상품에 대한 쏠림을 피하고 AI, 빅데이터 등 혁신기술을 활용하여 독창적이고 특화된 상품을 만들고 투자시장의 저변을 넓히는 노력을 기울여주시기를 바란다"고 요청했다. 그러면서 "그 과정에서 걸림돌이 되는 규제가 있다면 과감히 개선하겠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고령화 심화, AI 등 기술혁신이라는 거대한 변화의 흐름에서 자산운용에 대한 국민의 눈높이는 계속 높아질 것"이라며 "사모펀드 사태 등 논란을 딛고 신뢰받는 시장으로 성장하기 위해 모험자본 활성화를 위한 본연의 역할을 강화하고 개인의 다양한 투자수요에 부응하는 자산관리자로 거듭나기를 바란다"고 했다.
서유석 금투협회장도 국민 노후보장에 대한 금융위의 계획에 동의했다. 서 회장은 "400조원이 넘는 퇴직연금 자산 중 90%에 가까운 금액이 원리금 보장 상품으로 묶여 있고 10년 평균 수익률이 2%대에 그치고 있다"며 "국민 노후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언급했다.
서 회장은 "국민의 노후자금인 퇴직연금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원리금 보장 상품에서 실적 배당형 상품으로의 적극적인 자산 전환이 필요하며 제도적 뒷받침 또한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이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협회는 업계와 함께 디딤 펀드를 지난 1년 반 동안 준비해 왔다"며 "디딤 펀드는 전 세계 패시브 펀드들의 기본 운용 전략인 자산 배분 전략을 통해 꾸준한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상품"이라며 "협회와 업계는 이달 말 드림펀드를 출시하여 국민들의 노후 대비를 위한 필수 상품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자산운용사 CEO들도 운용사의 주된 역할인 국민의 자산 형성을 위한 첨병으로서 운용역량을 지속적으로 제고하고, 혁신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모험자본 공급 활성화에 힘쓰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