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시중은행이 늘어나는 가계대출 증가세를 막기 위해 대출 금리를 올린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시중은행에 걸린 주담대 안내 현수막. /사진=뉴시스
주요 시중은행이 늘어나는 가계대출 증가세를 막기 위해 대출 금리를 올린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시중은행에 걸린 주담대 안내 현수막. /사진=뉴시스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에 이어 KB국민·하나·NH농협은행도 대출금리 인상에 나섰다. 가계대출 증가세 관리를 위해서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고정(혼합·주기형)금리는 전날 기준 연 3.64~6.15%, 변동금리는 연 4.50~6.69%다.


전날 국민은행은 4일부터 주담대와 전세자금대출, 신용대출 등 가계대출 금리를 최대 0.25%포인트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주담대 상품 'KB주택담보대출'(변동·혼합형)의 금리는 0.20%포인트 올린다. 전세대출 금리는 보증기관에 따라 0.15~0.25%포인트 인상한다.

'KB 주택전세자금대출'(HF), 'KB 전세금안심대출'(HUG), 'KB 플러스전세자금대출'(SGI)의 금리를 각각 0.25%포인트, 0.20%포인트, 0.15%포인트 상향 조정한다. 신용대출 상품인 'KB 온국민 신용대출'과 'KB 직장인든든 신용대출'의 금리는 0.20%포인트 올린다.


국민은행에 앞서 신한은행과 우리은행도 금리를 인상하겠다고 알렸다.

신한은행도 4일부터 신규구입자금 및 생활안정자금 주담대 금리를 0.1~0.2%포인트 상향 조정한다. 주담대 고정금리 상품은 0.1%포인트, 변동금리(6개월) 상품은 0.2%포인트 금리를 인상한다. 전세자금대출 금리는 보증기관 등에 따라 0.1~0.45%포인트 올린다.

우리은행은 2일부터 주담대 금리를 0.1~0.2%포인트 올리고 전세대출 금리는 0.2%포인트 인상한다.

농협은행은 지난달 24일 신용대출에 적용되는 우대금리를 0.1~0.3%포인트 축소하면서 사실상 금리를 인상했다. 전날에는 비대면 주담대(변동) 대환대출 상품 우대금리를 0.5%포인트, 신규대출 상품 우대금리를 0.3%포인트 줄였다.

이밖에 하나은행은 이날부터 전세대출 상품의 감면금리를 최대 0.5%포인트 축소한다. 비대면 하나원큐전세대출은 0.2%포인트, 오프라인으로 판매되는 전세대출 상품은 최대 0.50%포인트 감면금리를 축소 조정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