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는 저출생 문제 해소를 위해 임산부의 안전하고 행복한 출산을 위한 다양한 맞춤형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와 함께 임산부를 배려하고 존중하는 문화 조성에 나선다.
9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주요 맞춤형 정책 중 하나로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꾸러미 사업'을 벌이고 있다. 도에 거주하는 임산부에게 친환경 농산물꾸러미를 지원한다. 월 1~4회 자부담 20%를 납부하고 연 48만원 상당의 유기농 수축산물과 유기 가공식품을 배송받는다.
도는 지난해 이 사업이 정부예산에 반영되지 않았지만, 광역지자체 중 최초로 자체 재원 23억원을 들여 2만여명을 지원했다. 올해도 3만명을 지원할 예정이다.
위기임산부 지원 사업도 펼치고 있다. 예기치 않은 임신으로 인해 경제적 부담이나 사회적 편견 때문에 출산·양육을 포기하려는 위기임산부를 위한 사업이다. 도는 위기임산부 지역상담기관을 운영해 출산·양육·보호 상담을 제공해 위기임산부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안전한 출산을 꾀하고 있다.
위기임산부는 가족 등으로부터 은둔·고립돼 임신중절, 유기, 입양 등 임신·출산에 갈등하고 사회적·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임산부를 말한다. 도는 이들의 출산과 양육 문제는 물론 보호(주거) 문제까지 상담을 제공하는 위기임산부 지역상담기관을 운영하며, 24시간 운영하는 핫라인도 개설했다. 지난해 10월 개설 이후 9월 말까지 496건의 상담을 진행했다.
또, 도는 도내 거주 중인 임신․출산예정 부부 55쌍을 대상으로 '엄마․아빠가 처음 학교' 사업을 시범 운영하고 있다. 경기북부 권역 난임․우울증 상담센터(동국대학교 일산병원)에서 11월까지 3회 진행한다. 임신․출산 이해, 자연분만의 장점, 산전․산후우울증 관리, 아빠 아기돌보기 체험 등 부부가 함께 참여하는 임신․출산 교육 프로그램으로 이뤄져 있다.
무료로 책을 배달해 주는 '내 생애 첫 도서관'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임산부와 양육자는 공공도서관에 방문하지 않고도 원하는 책을 집에서 빌려보고 반납할 수 있다. 모든 임산부에게 임신출산진료비 100만원을 국민행복카드 바우처로 지급하고 있다. 다둥이 임신에 대해서는 태아당 100만원을 지급한다. 고위험 임산부에게는 소득과 관계없이 의료비를 지원한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오는 10일 임산부의 날을 기념해 임산부에 대한 배려와 존중 문화가 확산하길 바란다"며 "저출생을 극복하고, 임산부를 배려하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