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이 중국의 보복 대응에 대해 미국과의 대화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사진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9년 6월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20정상회의서 양자회담을 진행한 모습. /사진=로이터
전문가들이 중국의 보복 대응에 대해 미국과의 대화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사진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9년 6월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20정상회의서 양자회담을 진행한 모습. /사진=로이터

중국이 미국과의 대화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은 지난 4일(이하 현지시각) 중국에 10% 추가 관세 조치를 시행했다. 이에 중국도 오는 10일부터 미국에 10~15% 관세 부과, 구글 반독점 위반 혐의 조사 등 보복 대응에 나섰다.

지난 4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중국의 보복 조치는 긴장 고조 상황에 대처할 준비가 됐지만 협상에서 더 많은 것을 얻어내려는 의지를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홍콩시립대 법학대학원의 줄리앙 샤이스 국제경제법 교수는 중국의 조치는 협상을 위한 '암묵적인 초대'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샤이스 교수는 "중국의 조치는 전략적 유연성을 유지하면서도 중국의 보복 능력을 입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은 미국의 공급망에 대한 제한이나 금융시장 개입보다 체계적인 경제적 대응 조치를 피하기 위해 보복 조치를 결정했다"며 "대립보다는 협상을 우선시한다는 것을 시사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중국의 보복 대응은 외교 채널을 열어두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