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청 전경/사진=황재윤 기자
경북도청 전경/사진=황재윤 기자


경상북도가 최근 대전 초등학교에서 발생한 비극적 사건과 관련해 영유아, 청소년, 가족시설 등에 대한 선제적인 안전관리 대책 마련에 나섰다고 13일 밝혔다.

경북도에 따르면 도는 이날 영유아 돌봄 시설 등 안전관리 방안을 제시했다. 해당 방안에는 돌봄 이후 어린이 안전 귀가, 돌봄 선생님 정신건강 지원, 돌봄 시설 상시 안전 점검 등이 담겨있다.


도는 돌봄 이후 어린이 안전 귀가 대책으로는 세밀하고 촘촘한 돌봄 안전 지침을 마련하고 기존에 추진 중이던 정책을 확대 강화한다.

특히 자율방범대, 의용 소방대 등과 함께 어린이 안전 귀가를 위해 도보, 버스 이동 시 동행하고 안전 순찰도 강화하고 걷기 앱을 활용한 우리 아이 이동 길 안전망을 통해 아이가 평소 이동 경로를 이탈한 경우 보호자에게 통보하도록 했다.

돌봄 선생님 정신건강 지원 대책으로는 동국대 경주병원과 도내 정신건강복지센터 24개소를 활용해 돌봄 선생님 정신건강 관리를 지원하고 정기적인 대면·전화 상담을 통해 이상 시 치료로 연계하고 돌봄 기관으로 찾아가는 마음 안심 버스도 운행할 계획이다.


돌봄 시설 상시 안전 점검 대책으로 돌봄 시설 내 119 신고 비상벨을 확대 설치하고 돌봄 시설 안전 점검도 강화하고 도내 어린이집, 돌봄센터, 아동복지시설 등 1813개소에 대해 소방, 전기, 가스 등 시설물 안전 점검 등을 상시 실시한다는 방침이라고 도는 설명했다.

이외에도 어린이집 안전공제회비 지원을 통해 영유아 배상, 상해, 보육 교직원 권익 보호, 심리 치료 등도 병행한다.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안전지대로 생각했던 학교에서 비극적인 사고가 발생했다"며 "돌봄 이후 어린이 귀가 시스템 등에서 문제가 생긴 것으로 도내에 있는 돌봄센터, 어린이집 등에 대한 선제적인 안전관리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