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미국 조지아 주에 미국 통상환경조사단(이하 조사단)을 파견한다.
6일 경기도에 따르면 이번 조사단은 4월 초 발표될 것으로 예상되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자동차 관세정책에 선제적 대응에 나선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국가를 가리지 않고 자동차 관세율이 25%에 달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25% 관세 부과가 현실화하면 자동차 수출이 버팀목 역할을 해온 우리 경제에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347억달러(약 50조원)로 전체 대미 수출의 27%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자동차 산업에서 경기도가 차지하는 비중도 매우 높은 수준이다. 경기도는 자동차 부품 기업 수 전국 1위 지역으로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의 중심부다.
조사단은 조지아 주정부 등을 방문해 자동차 부품 업계 통상 환경을 조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또한 주정부 및 현지 관련 기관과 협력 체계를 강화해 점차 다가오는 통상위기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조지아주는 미국 동남부 교통·물류의 허브로, 미국 전체 물동량 4위인 서배나 항구를 비롯한 우수한 기반 시설을 가지고 있어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운송에 최적화된 지역이다.
지난해 말 조기 가동을 시작한 현대자동차 그룹의 전기차 공장(HMGMA)과 기아차 공장을 중심으로 150여 개에 달하는 국내 기업들이 이미 진출해 있어 자동차 산업의 핵심 거점이기도 하다. 국제통상과장을 단장으로 하는 이번 조사단은 경기FTA통상진흥센터,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KAICA),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KAP) 등 통상 및 자동차 분야 전문가로 구성했다.
도는 이번 조사단 파견 후속 조치로 도내 자동차 부품사 10개 사를 선정해 오는 6월 미국 현지 직접 파견 및 컨설팅을 지원할 방침이다. 참가를 원하는 기업을 경기기업비서를 통해 다음 달 4일까지 모집한다. 자동차 부품뿐만 아니라 반도체 산업 분야 등 대미 수출 규모가 큰 주요 업종에 대한 통상환경조사단 파견도 검토하고 있다. 미국 관세 동향을 예의주시하며 다각적 통상·수출 전략을 지속해 모색해 나갈 예정이다.
박근균 경기도 국제협력국장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자동차 관세정책을 발표할 예정인 만큼, 자동차 수출 최대 시장인 미국의 통상 정책 변화에 긴밀히 대비해 도내 기업의 통상리스크를 최소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