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 산청과 하동에서 열흘간 이어진 산불이 발생 213시간 만에 주불(主火)이 잡혔다. 산림청은 "산청·하동 일대의 모든 주불 진화를 완료했다"며 사실상 완전 진화를 선언했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30일 현장에서 긴급 브리핑을 열고 "산불진화에 참여한 경남도, 산청·하동군, 소방·경찰·군 등 관계기관과 진화 인력의 헌신에 깊이 감사드린다"며 "앞으로는 지자체 중심의 잔불 정리 체계로 전환해 남은 불씨까지 완벽히 제거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21일 오후 3시28분 산청군 시천면 신천리 일원에서 시작된 산불은 강한 바람(초속 13.4m)을 타고 급속히 번지며 인근 하동까지 확산됐다. 산림청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산청 1158ha(헥타르), 하동 700ha 등 총 1858ha(축구장 약 2600개 규모)가 피해를 입었다. 인명 피해는 사망 4명, 부상 10명 등 총 14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진화가 늦어진 원인으로는 ▲두꺼운 활엽수 낙엽층 아래 숨어 재발화하는 불씨 ▲임도 없는 고지대(해발 900m) ▲고밀도의 수목과 잡초 ▲헬기 운항을 방해한 연무(연기·안개) 등 복합적인 지형·기상 요인이 꼽힌다.
산불 진화에는 경남도와 산림청, 지자체, 소방·경찰·국방부·기상청·국립공원공단·산림조합 등 유관기관이 참여했다. 산림청은 경북 산불 주불 진화를 완료한 28일 이후 다시 산청·하동 산불 지휘를 직접 맡아 잔불 정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산불이 일단락되면서 경남도는 본격적인 피해 복구 지원과 제도 개선에 나섰다. 도는 30억원을 긴급 투입해 피해 주민 1인당 30만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하고, 생계가 어려운 가구에는 복지지원과 희망지원금 등을 병행해 의료비·주거비·난방비 등을 차등 지원하기로 했다.
주거 안정을 위한 임시조립주택 제공과 함께 정부 주거비, 융자 이차보전도 추진된다. 소상공인을 위해 100억원 규모의 긴급 경영안정자금이 융자되고, 지역사랑상품권도 469억원까지 확대 발행된다.
농업인 대상 지원으로는 경남 농어촌진흥기금을 통해 개인 5000만 원, 법인 3억 원까지 저리 융자를 제공하고, 기존 대출에 대한 상환 유예와 이자 감면도 병행한다. 농약대, 가축 입식비, 농업시설 피해 보상 등도 정부와 협력해 추진한다.
산림청은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피해지 긴급 진단과 벌채, 조림 복원 계획 수립에 착수한다. 산사태 등 2차 피해 예방을 위한 현장 조사도 병행한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긴급 상황 시 민간 헬기도 사전 허가 없이 즉각 투입할 수 있도록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며 "중앙정부와 협의해 조속히 개선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또 경남권 '국립 남부권 산불방지센터' 설립을 정부에 건의했고, 야간 진화의 어려움을 지적하며 열화상 드론, 고출력 LED 조명타워, 서치라이트 등 야간 산불 진화 장비 확보의 시급성을 강조했다.
경남도는 잔불 정리 이후에도 24시간 상황실 운영과 열화상 드론 상시 모니터링을 통해 재발화 가능성에 대비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