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덴마크 자치령인 그린란드를 사실상 미국 영토로 편입하겠다는 의지를 거듭 밝혔다. 군사적 수단도 배제하지 않겠다는 발언으로, 미국 정부가 본격적인 압박 수단에 돌입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29일(현지시각) NBC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그린란드를 100% 가져올 것"이라며 "군사력 없이도 가능하지만, 어떤 옵션도 배제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세계를 보호할 의무가 있다"며 "러시아, 중국 등 여러 나라의 선박들이 그린란드 해역을 오가고 있고 미국과 세계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상황을 그대로 둘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문제는 국제 평화, 국제 안보, 그리고 '힘'의 문제"라고 부연했다.
트럼프의 이 같은 발언은 JD 밴스 부통령이 그린란드를 방문한 직후 나왔다. 명분은 그린란드 최북단에 있는 미국 우주기지 점검이었지만, 트럼프가 집권 이후 지속적으로 제기해온 그린란드 편입 구상을 뒷받침하는 행보로 해석된다.
밴스 부통령은 현지에서 "그린란드인들은 스스로 결정할 것이며, 우리는 그들이 미국과 협력하길 바란다"며 "덴마크의 보호보다 미국의 보호 아래 있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인터뷰에서 4월3일부터 시행 예정인 외국산 자동차 관세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수입차 가격이 오르는 걸 전혀 신경 쓰지 않는다"며 "오히려 미국산 자동차 소비가 늘어날 것이기 때문에 더 좋다"고 말했다.
25% 고율 관세가 소비자 가격 전가를 통해 물가를 끌어올릴 수 있다는 지적에는 "관세는 영구적인 것이다. 우리는 공정함을 되찾고 있을 뿐"이라며 일축했다. 그는 "세계는 수십 년간 미국을 착취해왔다"며 "나는 매우 관대한 편"이라고도 덧붙였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한 '자동차 CEO들에게 가격 인상을 자제하라고 경고했다'는 내용에 대해서는 "그런 말 한 적 없다"며 사실을 부인했다.
트럼프가 예고한 고율 관세는 그가 '해방의 날'(Liberation Day)로 명명한 4월2일을 기점으로 발효될 예정으로 글로벌 무역 긴장감도 다시 고조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