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트럼프 행정부 상호관세 발표 이후 첫 거래일에 뉴욕증시가 크게 흔들렸다.
3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679.39포인트(3.98%) 하락한 4만545.93에 마감했다. S&P500 지수는 274.45포인트(4.84%) 내린 5396.52, 나스닥지수는 1050.44포인트(5.97%) 하락한 1만6550.60에 마쳤다.
3대 지수는 관세 발표를 기다리던 전날까지도 상승 마감했다. 상승 폭은 ▲다우 0.56% ▲S&P500 0.67% ▲나스닥 0.87% 등이었다.
이날 낙폭은 다른 주요국 증시보다 크다. 관세 발표 이후 첫 거래일 중국 상해 종합 지수는 0.24%, 홍콩 항셍지수는 1.52% 하락했다. 유럽 유로스톡스50은 3.59%, 일본 니케이225는 2.77% 낙폭을 보였다. 인도 센섹스는 0.42% 하락이었다. 한국에서도 코스피가 0.76%, 코스닥이 0.20% 내렸다.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발표를 예고했던 2월13일 이후 주요국 증시보다 하락세가 거셌다. 이날까지 낙폭은 ▲다우 9.31% ▲S&P500 11.75% ▲나스닥 17.02% 등이다.
같은 기간 중국 상해 종합은 0.28%, 항셍은 4.74% 상승했다. 인도 센섹스도 0.20% 올랐다. 유로스톡스50은 7.02% 하락했다. 일본 니케이225는 11.97% 내려 뉴욕증시 낙폭과 유사했다. 한국에서는 코스피가 3.99%, 코스닥이 9.63% 내렸다.
주요국 증시가 갈리는 기준은 '각국 정부가 돈을 얼마나 풀고 쓸 수 있는지'라는 관측이 많다. 미국은 관세 도입으로 물가 상승 압력이 생겨 금리 인하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정부 효율부(DOGE) 신설과 감세 등으로 정부 재정 규모도 작아진다.
다른 주요국에서는 경기를 끌어올리기 위해 금리 인하와 확장 재정 등을 실시할 것이라는 전망이 짙다. 이하연 대신증권 연구원은 "재정 여력이 있는 국가들을 중심으로 내수 부양이 강화될 전망"이라며 "대표적인 국가가 독일과 중국"이라고 언급했다.
박석중 신한투자증권 연구원도 "5월 이후 변수는 미국 통화정책과 미국 외 국가 재정정책"이라며 "국가별 주식시장에 가격 부담 차이가 존재하는데 부양책 집행 강도에 따른 자산 가격 차별화가 주안점"이라고 짚었다.
미국 외 국가에서 낙폭이 컸던 일본과 한국도 내수 부양에 대한 기대가 관건이다. 일본은 올해 기준금리를 오히려 올렸다. 한국은 기준금리를 내렸지만 탄핵 이슈 등으로 현재는 확장 재정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 연구원은 "일본은 7월 선거를 앞둬 내수 부양 가능성이 크고 한국 역시 정치 불확실성을 해소하면 내수 부양을 기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