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건물. /사진=뉴스1
과기정통부 건물. /사진=뉴스1

정부가 올해 5G 서비스를 중심으로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범위를 넓히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7일 2025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추진계획을 발표했는데 실내공간·고속열차 중심으로 5G 측정지점이 늘어나는 것이 골자다.


통신서비스 품질평가는 통신사들의 설비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매년 5G·LTE·유선인터넷 등의 접속가능비율·전송속도를 측정한 뒤 품질 정보를 제공하는 제도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5G 평가물량을 지난해보다 200개 늘려 600개로 확대하고 평가물량의 절반인 300개를 실내시설에 지정할 계획이다.

실내시설을 선정할 땐 실내 5G 무선국이 없는 시설을 중점적으로 선정하기로 했다. 품질미흡지역으로 지적받은 KTX·SRT 고속철도 구간에 대해선 정밀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5G 서비스에서 LTE망도 활용하는 실제 이용환경을 반영해 5G와 LTE 품질을 동시에 측정하는 방식도 도입한다고 밝혔다.

품질평가는 전문 측정요원이 최신사양의 단말을 갖추고 배터리·발열·앱 등 외부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 환경에서 측정한다.

이용자가 직접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앱이나 웹사이트로 정보를 제공하는 '이용자 평가'와는 측정값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과기정통부는 이 밖에도 동영상 서비스 가용률 등 주로 사용하는 콘텐츠를 원활히 이용할 수 있는 전송속도 기준을 마련하고 이에 기반한 평가를 추진해 이용자 중심의 품질을 측정할 계획이다.

전년도 평가결과에서 확인한 5G·LTE 접속 미흡 시설과 품질 미흡 지역에 대한 개선여부를 점검해 오는 8월 중 중간 발표할 예정이며 종합결과는 12월 중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