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머니S DB.
/사진=머니S DB.

광주지역 대표 경제단체인 광주상공회의소와 광주경영자총협회는 광주광역시 노사민정협의회가 최근 제시한 광주글로벌모터스(GGM) 노사갈등 관련 중재안과 관련 8일 "노조는 중재안을 수용하고 지역경제 회복에 협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광주상의와 광주경총은 이날 공동입장문을 통해 "이번 중재안은 GGM 설립의 근간인 '노사상생발전협정서'의 정신을 바탕으로 마련된 것으로, 상생·화합·미래지향이라는 3대 원칙 아래 갈등 당사자와 시민사회의 다양한 의견을 공정하게 반영하고 관련 법령과 헌법상 노동3권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구성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미국의 대외 관세정책 강화와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으로 자동차 산업의 수출 여건이 불확실해지는 가운데 노사갈등의 장기화는 GGM의 미래는 물론 광주형 일자리 모델 전반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양 단체는 "노동조합이 중재안의 취지를 깊이 이해하고 이제는 대립이 아닌 상생과 협력의 길로 나아가야 할 때"라며 "광주형 일자리라는 전국적 상생 모델이 위기를 극복하고 GGM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노조의 전향적인 결단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노사민정협의회는 지난 2일 GGM 경영진에게 노조 사무실 제공, 조합비 일괄공제, 근로복지기금 출연 확대 등을 권고했고 노조에는 35만 대 생산 목표 달성 시까지 파업을 유보하고 생산 물량 확대에 협력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양측 모두에게 노사상생발전협정서의 성실한 이행을 요구했다.

이같은 노사민정협의회의 중재안에 사측인 광주시는 즉각 수용 입장을 밝인 반면 노조는 중재안 수용 불가 입장을 공식 발표했다.


노조는 '35만 대 생산 목표 달성 시까지 파업을 유보하자'라는 조항에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GGM 노조는 지난 1월10일부터 여섯 차례 부분파업을 해왔다. 노조는 지난해 10월부터 사측과 벌인 임금 및 단체협약에서 월 급여 7% 인상, 호봉제 도입, 상여금 300%, 자유로운 노조활동 등을 요구했지만 사측이 이를 거부하자 파업에 돌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