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관세 쇼크에 나스닥이 7주째 하락세다. 사진은 4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사진=뉴시스
트럼프 행정부 관세 쇼크에 나스닥이 7주째 하락세다. 사진은 4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사진=뉴시스

트럼프 행정부 관세 공포에 미국 증시가 연일 출렁인다. 관세 쇼크가 발생한 올해 상반기 기준 나스닥 지수는 최고점에서(2월19일 종가 2만56.25 기준) 현재까지 22% 하락했다.

7일(이하 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따르면 이날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49.26포인트(0.91%) 내린 3만7965.60에 거래를 종료했다. S&P(스탠더드앤드푸어스)500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1.83포인트(0.23%) 내린 5062.25에 문을 닫았다.


미국 대표 기술주들의 모임인 나스닥종합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5.48포인트(0.10%) 오른 1만5063.26에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은 앞선 2거래일동안(지난 3일~4일) 연속 하락하며 11.79% 급락한 바 있다.

지난 2월19일 올해 최고점 2만56.25(종가 기준)을 기록한 이후로는 현재까지 22.20% 하락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쇼크가 시장을 뒤흔들기 시작한 이후 7주째 하락세가 이어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기 행정부 당시에도 강력한 관세 정책을 추진한 바 있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기 행정부 당시에도 강력한 관세 정책을 추진한 바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 증시 하락세가 장기간 지속되는 흐름에 시장의 공포감은 더욱 확대되는 모양새다. 아울러 시장에서는 앞선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관세 쇼크와 비교해 봤을 때 2기의 관세 쇼크도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트럼프 1기 관세쇼크가 발발했던 2018년 4분기 당시 나스닥 지수는 최고점 8037.30(10월1일 종가 기준)에서 최저점 6192.92(최저점)로 22.94% 급락했다. 하락세는 13주 동안 이어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집권 1기 때도 관세 정책을 강력히 추진한 바 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겨냥해 34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했다.

이에 중국은 같은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보복관세를 부과했다. 이후 미국이 2천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자 중국도 다시 보복 관세를 선언하는 등 무역전쟁이 발발했다.

당시 두 경제 대국의 무역 전쟁에 세계 경제도 휘청거렸고 글로벌 증시 변동성도 확대됐다. 최근 이때와 같은 미·중 무역 갈등이 다시 발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중국은 미국이 34%의 대중 상호관세를 발표하자 같은 세율의 보복 관세를 물리겠다고 밝혔다. 이에 트럼프는 오는 9일 미국 상호관세 부과 전까지 중국이 보복 조치를 철회하지 않으면 50% 추가 관세를 물리겠다고 엄포했다.
미·중 무역갈등이 심화할 경우 글로벌 증시 변동성이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사진=이미지투데이
미·중 무역갈등이 심화할 경우 글로벌 증시 변동성이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사진=이미지투데이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이 심화할 경우 미국 증시는 물론 글로벌 증시 변동성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FICC리서치부 부장은 "미국과 중국 간 관세 위협이 지속되고, 시장에서 관세 전쟁과 경제 영향에 대한 우려가 공포로 재확산되며 며칠간 폭락 장세가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다만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아직 협상의 여지가 있다는 점은 희망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 "관세는 영구적일 수 있으며 그것은 협상이 될 수도 있다"며 "왜냐하면 우리가 관세 이상의 필요한 것이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모든 나라와 공정한 협상, 좋은 협상을 할 것"이라며 관세와 관련해 협상의 여지가 있음을 시사했다. 실제 일본과 EU(유럽연합), 태국·베트남 등 동남아 국가들이 관세와 관련해 협상 중이다.

강현주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트럼프의 대중영합주의적 성향을 고려할 때 1기 행정부 시절과 유사하게 단계적 관세 인상이 이루어지면서 장기적으로는 협상의 지렛대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며 "중국의 우회 수출을 막기 위한 선별적 고율 관세를 제외하면 중국 외 국가들에 대한 전면적 관세부과의 실효 관세율 인상 폭 또한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