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장선 평택시장(가운데)이 9일 미국 관세 정책에 따른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평택상공회의소 등 7개 관계기관과 비상경제협의체 회의를 열고 있다. /사진제공=평택시
장장선 평택시장(가운데)이 9일 미국 관세 정책에 따른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평택상공회의소 등 7개 관계기관과 비상경제협의체 회의를 열고 있다. /사진제공=평택시

평택시가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지역 기업들의 경영난 심화를 우려, 이에 대한 선제 대응 방안 마련에 발 벗고 나섰다.

평택시는 9일 평택직할세관, 평택상공회의소, 평택산업단지관리공단, 평택산업진흥원, 경기FTA통상진흥센터, 경기경제과학진흥원, 경기신용보증재단 등 7개 관계기관과 긴급 비상경제협의체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시와 관계기관들은 고환율, 고물가, 고금리 등 삼중고로 인해 이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경제 상황에서 미국의 25% 관세 인상이라는 추가적인 악재가 발생할 경우, 관내 수출 기업들이 더욱 심각한 경영난에 직면할 것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특히 상당수 기업이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때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눈앞의 위기 상황에도 불구하고, 산업 현장에서 관세 인상이 미칠 구체적인 영향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인해 기업들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다.

이에 평택시는 평택산업진흥원을 중심으로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기업에게 제공하여 시장의 불안감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수출 기업 등을 대상으로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긴급히 마련하고, 별도의 '관세 기업 피해 접수처'를 운영하여 개별 기업들의 문의 사항에 맞춤형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더불어 정부의 '긴급 지원 프로그램', 경기신용보증재단의 '특별경영자금' 등 기업지원프로그램을 적극 홍보할 계획이다.

또한 올해 확정된 기업지원 사업 중 융자사업은 수출 기업 우선으로 진행하고, 수출대상국가의 다변화와 맞춤형 수출 상담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비상경제협의체 회의'를 지속 운영해 지역 상황을 파악하고 맞춤형 지원 방안을 추가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정장선 시장은 "미국 관세 정책으로 수출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관련 정보가 부족해 각 기업들의 불안감은 커진 상황"이라며 "평택시는 미국 관세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기업과 소통해 추가 지원 방안을 마련해 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정 시장은 각 기관들을 대상으로 "지금은 초유의 상황으로,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신속하고 기민하게 움직여 주길 바란다"면서 "평택시도 미국 관세 정책 대응을 위한 작업에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