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연이어 발생한 땅 꺼짐 사고에 대한 도민 불안감이 커짐에 따라, 경기도가 지하시설물 주변 지반 사고 예방을 위한 특별 안전대책을 수립하고 즉시 시행에 나선다.
'경기지하안전지킴이' 운영 강화, 지하시설물 공동조사(GPR 탐사) 장비 구입 지원 등이 주요 내용이다.
17일 경기도에 따르면 이는 최근 서울 강동구 명일동 땅 꺼짐 사고와 광명시 신안산선 공사현장 붕괴사고로 도민의 불안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지하안전 관리를 강화해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한 긴급 조치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전국 최초로 시행 중인 '경기지하안전지킴이' 제도를 더욱 강화하여 지하시설물 주변 지반 사고 예방에 주력할 방침이다. 지하안전지킴이는 토질, 지질, 구조 분야 등 전문가 42명이 2인 1조로 구성되어 지하안전평가 대상(10m 이상 굴착) 현장에서 안전관리계획 준수 여부 등을 자문하는 제도이다. 2020년부터 현재까지 도내 312개 지하 개발 사업장과 34개 지하시설물에 대한 현장 자문을 실시한 바 있다.
경기도는 특히 지반 침하 우려가 높은 해빙기나 집중호우 시기에 지하 개발 사업장 및 지하시설물에 대한 전문가 현장 자문과 점검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 '경기도 지하시설물 안전관리 협의체' 운영을 강화하기로 했다. 도는 2023년 한국전력공사, 한국수자원공사 등 6개 기관 구성한 협의체 운영을 수시로 확대할 계획이다. 31개 시군에도 협의체를 구성·운영토록 조치하고, 지하시설물 공동조사(GPR탐사) 추진과 사고 발생 시 공동대응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 도는 지반탐사(GPR탐사) 관리감독 주체인 시군과 협의해 수요를 확인한 뒤 장비구입·조사비, 지하안전지도 작성에 필요한 예산을 올해 1회 추경부터 도비로 지원할 계획이다. GPR탐사 장비는 지표 깊이에 따라 대당 2억~3억원, 6억~8억원 정도로 파악된다.
도내 철도와 대형 공사장에 대한 점검도 확대한다. 지난 2일 도봉산~옥정 광역철도 건설현장 지반함몰(싱크홀) 대비 특별점검을 실시했다. 앞으로 외부전문가를 활용해 공사현장과 주변 지역에 대한 점검을 지속해 실시할 방침이다.
특히, 지반침하가 주로 발생하는 해빙기와 우기시에는 철도건설기술자문위원회와 지하안전지킴이, 해당 시군과 지반침하에 대해 합동점검을 실시해 이상이 있으면 선제적으로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상하수관 손상으로 인한 지반침하 예방에도 나선다. 단기적으로 대형 공사장 합동점검시 시군 과 유관기관 합동으로 노후 상하수관로 점검을 적극 지원한다.
장기적으로는 2015년부터 현재까지 상수관로 1만7917km, 하수관로 1만 1494km에 대해 1, 2차 정밀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조사 결과 개량, 개선이 필요한 구간에 대해 총사업비 1조5216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정비사업을 단계적으로 시행 중이다.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지하 공사현장 붕괴, 땅꺼짐(싱크홀) 현상 등 연이은 사고로 인해 불안해 하는 도민 안전을 위해 특별안전대책을 강화해 시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