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청 전경. /사진제공=고양특례시
고양시청 전경. /사진제공=고양특례시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가 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 주민의견 청취 절차가 마무리됨에 따라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상반기 중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신청한다고 17일 밝혔다.

고양시는 지난달 28일부터 11일까지 15일간 경기경제자유구역청 주관하에 경기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을 위한 개발계획 변경(안) 주민 의견청취 절차를 진행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양 경제자유구역은 총 17.09㎢(약 517만 평) 규모로, 고양 송포·가좌지구(9.8㎢)와 고양 장항·대화지구(7.29㎢) 두 개 지구로 구성된다. 송포·가좌지구는 바이오 정밀의료와 AI·로봇 기반 스마트모빌리티 산업을, 장항·대화지구는 K-컬처 산업과 마이스(MICE) 산업을 핵심 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의견 청취 기간 고양시 경제자유구역추진과를 방문하여 개발계획(안)을 열람한 주민들은 총 40여 건의 의견을 제출했다. 대다수의 주민은 경제자유구역 추진에 높은 기대감을 나타내며 신속하고 적극적인 사업 추진을 요청했다.

일부 주민들은 경제자유구역 주거 비율이 과도하게 높은 경우 산업 기능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시는 경제자유구역 사업성과 정주여건 확보를 위해 전문가 자문을 거쳐 주거비율을 전체 계획면적의 약 14.2%로 설정했으나 산업기능 약화를 우려하는 주민들의 의견을 고려해 기존에 계획한 주택공급 비율을 약 9.3%(3.4만 호)로 조정하기로 했다. 주거비율은 외국인 직주근접과 정주여건을 유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범위로 줄이고 대신 산업용지 등 비율을 높여 AI, 로봇, 첨단 시설 등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공급처리시설 이전에 대한 주민 의견도 검토를 거쳐 반영하기로 했다. 기존 공급처리시설 위치를 호수공원 부지 인근의 공립식물원 지하로 계획해 호수공원과 공립식물원, 공급처리시설을 연계한 에코 플로우 파크(Eco Flow Park)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지하 공급처리시설 열에너지는 상부 식물원과 인접 산업시설 스마트팜에 활용해 토지 효용성을 높일 예정이다.

고양시는 개발계획을 보완해 5월까지 산업통상자원부 사전 자문을 거친 뒤 상반기 중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을 신청할 예정이다.